Uncategorized

경기도, 중소기업 IP 활용 콘텐츠 사업 확장 지원

경기도가 중소 콘텐츠 기업들의 지식재산권(IP) 활용을 통한 사업 확장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경기콘텐츠진흥원(경콘진)은 최근 ‘중소 IP 도약’ 지원 사업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 사업은 도내 중소기업들이 보유한 IP를 다른 장르나 기술과 융합해 사업 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경콘진 관계자는 “도내 콘텐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IP를 활용해 사업을 확장할 수 있도록 IP 도약 프로그램을 기획했다”며 “콘텐츠 제작 비용뿐만 아니라 실증, 유통, 사업화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4년 ‘경기도 K-콘텐츠 IP 융복합 제작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올해 4월 선발된 4개 유망 콘텐츠 과제에 대해 11월까지 각 1억 8천만 원 규모의 제작비를 직접 지원했다. 또한 개발된 콘텐츠의 경쟁력 검증과 시장 유통을 위해 대기업 유통사 또는 유통처를 연계하는 등의 간접 지원도 제공했다.

올해 사업에는 크리플, 오디오가이, 이케이, 오마이어스(아트스케이프 컨소시움) 등 5개 기업이 참여해 4개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크리플은 두뇌 훈련 콘텐츠 ‘펀싱큐(FunXingQ)’를 모바일 구독 서비스로 확장했다. 42개 복지 기관에서 584명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이대목동병원에서의 임상시험을 통해 인지 기능 및 뇌기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입증했다.

오디오가이는 공간 음향 기술과 음원 IP를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를 제작했다. 아이돌 그룹 엔믹스(NMIXX)의 무대를 3D 공간 음향 콘텐츠로 제작해 유튜브에서 6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다.

이케이는 어린이 양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확대했다. 127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콘텐츠를 테스트하고, 18,000명이 참여한 양치교육 캠페인을 진행했다.

오마이어스(아트스케이프 컨소시움)는 기후 위기 대응을 주제로 한 뮤지컬 IP를 다양한 형태로 확장했다. 스타필드 수원에서 진행된 기후 위기 인식 캠페인에는 400여 명이 참여했으며, 증강현실 기술이 접목된 그림책은 해외 수출을 앞두고 있다.

지난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스타필드 수원에서 열린 킵(KIP) 페스타에서는 이번 사업의 결과물이 전시됐다. 이 행사에는 32,000여 명의 참관객이 다녀간 것으로 집계됐다.

한 참가 기업 대표는 “경콘진의 자금 지원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었다”며 “대형 쇼핑몰에서의 실증 행사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