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ategorized

카카오모빌리티, 상암에 자율주행 DRT 서비스 도입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 T 플랫폼을 통해 호출, 탑승, 결제까지 제공하는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서울 상암 지역에 도입한다.

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 수요응답형 교통)는 이용자 호출에 따라 경로를 설정해 노선과 운행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통 서비스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강남·세종·판교·서울·대구·제주 등에서 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경험과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개발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9월 서울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 사업자로 선정된 후,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자율주행 서비스를 카카오 T 앱에서 통합 제공해 왔다. 이번 자율주행 DRT 서비스는 자율주행 기술기업 에스더블유엠(SWM)과 협력해 마포구 상암 일대 ‘A02’ 노선에서 운영을 시작한다. 해당 노선은 휠체어 탑승 가능 차량 1대를 포함해 총 2대의 차량으로 운영된다.

이용자는 카카오 T 앱 내 전체보기에서 ‘DRT’ 아이콘을 선택한 뒤, 노선, 승하차 정류장, 탑승 인원 및 시간을 선택해 차량을 호출할 수 있다. 배차가 완료되면, 예상 대기시간, 차량 정보, 실시간 이동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에서 운행되는 자율주행 DRT 서비스는 시범 운행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무료로 제공되며, 평일(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12시,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5시)에 상암 DMC역 부근에서 운영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으로 농어촌, 고령화 지역, 신도시 외곽 등 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자율주행 DRT 서비스 운영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서울 도심에서 제공되는 이번 서비스를 통해 시민들이 카카오 T 앱에서 자율주행 DRT 서비스를 경험해 보시길 바란다”며, “계속해서 다양한 형태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이며 기술에 대한 이용자 수용도를 높이고, 자율주행 생태계를 함께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오토노머스에이투지(Autonomous A2Z), 에스유엠(SUM) 등 국내 자율주행 전문기업들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자율주행 상용화 생태계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스타트업

카카오모빌리티, 충북 청주에 로봇 주차 서비스 도입

스타트업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 스타트업과 협력 체계 본격 구축

스타트업

카카오모빌리티, 모빌리티 구독 서비스 ‘카카오 T 멤버스’ 정식 출시

스타트업

카카오내비, AI로 ‘불편한 길’ 학습해 경로 개선…운전자 순응률 6.65%p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