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제주혁신센터-카카오, ‘2025 J 임팩트 이노베이션’ 성과공유회 개최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카카오와 함께 추진한 ‘2025 J 임팩트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의 성과공유회를 지난 11일 제주센터 3층 J-Space에서 개최했다.

‘J 임팩트 이노베이션’은 제주지역의 환경문제를 기술 기반 솔루션으로 해결하기 위해 기획된 오픈이노베이션 사업이다. 제주센터와 카카오는 지난 7월부터 5개월간 선정 스타트업의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했으며, 기후테크·생물다양성·자원순환 등 분야의 기술 실증을 통해 사업화 결과를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올해 사업에는 총 3개 기업이 선정돼 각 1,000만원씩 총 3,000만원의 프로젝트 실행 자금을 지원했다. 성과공유회는 이들 스타트업이 추진한 과제 결과를 발표하고, 유관기관 및 투자사 등과의 후속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쉘코퍼레이션(대표 유은진)은 제주 감귤농가에서 발생하는 폐타이벡을 고기능성 친환경 섬유로 새활용해 캠핑용품 등으로 상용화했다. 지역 농가와의 수거 체계를 구축하고, 제주올레 걷기대회 굿즈, RE100 캠핑존 실증 등을 진행했다.

코드오브네이처(대표 박재홍)는 제주 자생 이끼와 미생물을 활용해 오름 훼손지를 복원하고, 지역 주민과 학생이 참여하는 생태복원 활동을 진행했다. 이는 실험, 교육, 참여가 결합된 시민참여형 기술실증 모델로 구축됐다.

브이피피랩(대표 차병학)은 카카오 제주 오피스의 RE100을 지원하며, 지역 내 분산형 재생에너지 사업자의 참여 기반을 마련했다. 플랫폼 실증, 데이터 연동, 포럼 및 캠페인 운영 등을 통해 제주형 RE100 실행 모델을 제시했다.

제주센터 관계자는 “기술을 통해 지역 문제에 접근하는 스타트업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지역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모델을 제시하고, 협업 생태계 확산 가능성을 확인했다. 프로젝트 기획부터 실행, 사업실증, 마케팅, 투자 연계까지 전 과정에 걸쳐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별 지원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지역사회와 함께 지속가능한 가치를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스타트업이 가진 기술 역량이 기여하고 있다”며 “카카오는 앞으로도 스타트업과 함께 지역 기반 협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제주센터는 성과공유회를 계기로 후속 투자 연계, 보육기업 등록 등 참여 기업의 성장을 위한 연계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댓글 남기기


관련 기사

이벤트 스타트업

광주·전남·제주 8개 기관, ‘스타트업 통합 IR 캠프’ 개최

Uncategorized

카카오, ‘카카오 일상AI 포럼’ 발족…산업·학계 머리 맞대고 AI 혁신 논의

Uncategorized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FAO파트너스, 팁스 협력‧스타트업 해외 진출 지원

Uncategorized

카카오, 3분기 매출 2조866억원·영업이익 2,080억원…분기 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