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가 17일 기업공개(IPO) 이후 첫 실적 발표를 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카카오뱅크 고객수는 전년 말 대비 127만명 증가한 1,671만명, 경제활동 인구의 59%를 차지했다. 신규 고객 증가는 40대 이상, 중‧장년층이 이끌었다. 2017년 7월 대고객 서비스 이후 현재까지 누적된 연령별 고객 비율은 20~30대가 54%를 차지했지만, 올해 상반기 신규 고객 가운데 40~50대 비중이 48%였고 60대 이상도 10%였다.
월간 모바일 앱 이용자수는 지난해 말 1,310만명에서 올해 6월말에는 1,403만명(닐슨미디어 디지털 데이터 기준)으로 상승했다. 카카오뱅크는 이 같은 트래픽을 기반으로 플랫폼과 뱅킹 부문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플랫폼 부문에서는 주식계좌개설 신청 서비스와 제2금융권 연계대출 실적이 전년 말 누적 대비 43%, 51% 가량 늘었다. 주식계좌개설은 상반기 중에 129만3,060좌가 카카오뱅크를 통해 개설됐고, 연계대출 누적 실행 금액은 전년말 대비 1조원 이상 늘어난 3조1,245억원을 기록했다. 제휴 신용카드 발급 실적은 누적 25만장을 기록했다.
뱅킹 부문도 성장세를 이어갔다. 수신 잔액은 전년말 대비 3조866억원 불어난 26조 6,259억원이며 저원가성 예금이 56.2%를 차지했다. 여신은 전월세보증금대출과 중‧저신용 고객 대상 대출이 성장을 견인했다. 상반기말 여신 잔액은 23조 1,265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조 8,132억원 늘었다. 특히 전월세보증금 대출이 청년전월세대출 증가 등으로 올해 1월부터 6개월 동안 2조 2,383억원 늘었다.
외환 송금이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간 가운데 체크카드는 비대면‧디지털 결제 증가에 맞춰 시행한 프로모션 등으로 결제 규모가 증가했다. 청소년 대상 금융서비스인 카카오뱅크 미니는 85만명이 사용하는 서비스로 성장했다.
이 같은 트랜잭션(Transaction)을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영업수익은 4,785억원을 기록했다. 영업비용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1,338억원이다.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159억원이다. 상반기 말 총 자산은 29조 9,013억원이다. 순이자마진(NIM)은 1.89%, 연체율은 0.20%였다. 국제결제은행(BIS) 총자본비율은 19.89%이다.
올해 하반기, 카카오뱅크는 1700만명의 고객과 모바일 앱 MAU 1위의 트래픽을 기반으로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하고 대출 부문에서는 중금리 대출 공급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하 카카오뱅크 2021 상반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질의응답)
Q1: 저원가성 예금을 보면, 월급통장 규모가 어느 정도 되는지? 수신 쪽에서 계속 새로운 상품들 선보이고 있는데, 향후 월급통장 관련해서 전략적인 계획이 있는지? 특히 커머스쪽과 다양한 제휴 맺고 있는데, 이와 연계해 그 시장을 조금 더 가져갈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지? 그리고 중금리 혁신 준비법인을 강조했는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
A.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이사) : 월급통장이라고 카운트를 별도로 관리하거나 하기는 어렵다. 그렇지만 월급통장이라고 생각되는 통장들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26주 적금은 지금까지는 회사 하나씩 제휴를 하는 것이었는데, 그렇게 해왔던 것은 사용성을 조금 더 점검해보고 거기에 유저들이 좋아하는 방법을 찾기 위함이다. 그러나 앞으로 조금 더 다양한 제휴처와 함께 26주 적금을 조금 더 다변화할 생각이다.
수신 관련해서 중요한 것은 많은 고객이 자주 찾는 것이다. 모바일 뱅킹의 편의성 측면에서 급여가 들어오는 날 짧은 시간 안에 송금하는 고객들의 패턴이 나오기 때문에 고객이 더 자주 트랜잭션을 일으키게 하는 동기 부여를 만드는 것이 수신 쪽의 전략이다.
중금리혁신준비법인의 KCD(한국신용데이터)는 온라인, 모바일로 서비스를 하는 회사다. 대출의 본질적 경쟁력은 CSS라고 생각하는데, 가장 기본이 데이터 확보라고 본다. 그런 면에 있어서 KCD가 갖고 있는 회사의 데이터들은 중금리 시장에서 유효하고 효율적 데이터라고 판단하고 있다.
Q2: 중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규모를 30%까지 확대해야 하는데, 현재 그 조건을 달성하기까지 어느 정도 이뤄졌는지 얼마나 늘려야하는 상황인지? 주택담보대출을 언제 출시할 예정인가?
A. (윤호영 대표이사) : 30%는 3년 내 목표이며, 올해 말은 20%를 목표로 하고 있다.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말 출시를 생각하고 있고, 늦어도 내년 초에는 출시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Q3: 증권 계좌개설 서비스, 제휴 신용카드 개설 관련해서 받는 수수료는 1회성인지, 향후 대출이나 차용에 대한 것도 있는지? 적금을 제공하고 있는 파트너들이 여러가지 소비자 혜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마케팅 비용을 분담하는 것인지?
A: (윤호영 대표이사) : 연계대출은 1회성 비용으로 대출이 실행되면서 받게 되고, 증권계좌는 계좌가 개설된 이후에 개설된 계좌를 통해서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받는 수수료가 있고, 제휴 신용카드는 1회성으로 받으나 일부사들은 사용금액에 비례해서 받는 수수료도 있다. 26주 적금을 통해서 발생되는 비용들은 전부 파트너사들이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카뱅의 26주 적금 관련 마케팅 비용에 대해서는 파트너에게 청구하지 않고 있다.
Q4: 수수료 수익 부문에서 카드 수입 수수료가 있다. 이 부분이 카카오뱅크의 주요 플랫폼 수익으로 볼 수 있을텐데, 1-2분기를 비교해보니 2분기에 카드에 신규 취급 이런 것들의 증가에 비해서 수수료 수입은 마이너스가 나왔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A. (윤호영 대표이사) : 1년에 한번 받는 카드 관련 수수료가 1분기 때 들어온다. 이 수익에 대한 인식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저 효과가 발생해 2분기에 카드 수수료 수입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고객이 증가함에 따라 카드 관련 활동성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수수료는 증가하고 있다. 앞으로도 고객수 증가에 따라서 카드 수수료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Q5: 올해 3분기와 4분기, 내년에 대폭적으로 대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반기에도 상반기와 같은 성장이 계속 이어진다고 예상하는지? 증자에 맞게 대출이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는지? 그리고 대출 지연 관련 문제가 있었는데 콜센터 및 상담인력 확충이 문제가 되지 않는지?
A. (윤호영 대표이사) : 카카오뱅크가 가장 중요시 생각하는 것은 더 많은 고객이 더 자주 찾게 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표 하에 여신을 바라보고 있다. 여신의 규모를 늘려서 급속하게 규모를 키우는 것보다는 더 많은 고객이 더 자주 찾게 하려고 한다. 확보된 자본으로 대출 규모를 늘리는 것보다는 새로운 상품을 통해 고객들에게 금융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전월세 보증금 담보 대출을 하면서 7월에 겪었던 일든은 청년전월세의 한도가 기존 7천만원에서 1억으로 늘어나면서 단기간 내에 많은 유입이 되면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이다. 한도가 7천에서 1억으로 늘면서 7월 일평균 신청자가 전월 대비 30% 가량 증가했다. 카카오뱅크는 인력을 채용하면서 준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사한 사례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Q6: 기타 이익 부분이 크게 증가한 이유는? 저원가성 예금 56% 이 정도가 최상인지, 혹은 더 높아질 여지가 있다고 보는지?
A. (윤호영 대표이사) : 기타 수익이 증가한 이유는 부실채권매각으로 인해서 1회성 비용이 116억 증가했기 때문이다. 2Q 전체 영업이익에서 부실채권매각인 116억을 뺀 나머지 수익이 2Q의 실적으로 보면 될 것 같다.
예금 비중을 특별히 관리하고 있진 않다. 고객의 사용성에 맞춰서 수신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객 수 증가에 따라서 수신고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앞으로 일정 기간 동안은 여신 증가 규모를 커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Q7: 중저신용 대출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전략을 가지고 있는지? CSS 고도화에서 전략이 있다면?
A. (윤호영 대표이사) : 두 가지 전략이 있다. 우선 카카오뱅크는 지난 4년동안 CSS모델링을 카카오뱅크 스타일로 고도화시켰다. 카카오 에코시스템에 있는 데이터와 통신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서 고도화한 CSS 모델을 보유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체 신용대출의 10%를 중금리 실적으로 취급해왔다. 그리고 그 10% 실적으로 인한 성과가 전체 연체율이 0.20%정도로 될 정도로 양호하다. 이 CSS모델을 토대로 인입되는 고객들을 지금보다 훨씬 많이 늘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CSS모델링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트래픽을 늘려가면서 중금리를 확대하는 것이 첫 번째 방향성이다.
두번째로는 자체 중금리 상품을 만들어서 자체 상품을 취급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중금리는 위험성도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6월 이후에 취급했었던 실적을 보면서 추후 3분기 실적이 나오면 전략 방향을 수정할 생각도 있다. 그렇지만, 그 실적이 어느정도 가시화될 때까지는 현재의 방향으로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