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이 지난해 실제로 이직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가 한국 직장인 57,3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블라인드 지수 2022)에 따르면, 한국 직장인 2명 중 1명(51%)이 지난해 이직을 시도했다. 연차별로 보면 사원급(1년 이상 5년 미만)의 이직 시도율이 55%로 가장 높았고, 부장급(14년 이상)의 경우 시도율이 눈에 띄게 낮았다. 신입급(1년 미만)의 49%, 대리급(5년 이상 9년 미만)의 54%, 과장급(9년 이상 14년 미만)의 48%, 부장·임원급(14년 이상)의 37%가 지난해 이직 활동에 뛰어들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이 58%로 가장 높았다. 그밖에 100인 이상 3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50%, 5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과 10인 이상 5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각각 54%, 10인 미만 기업 재직자의 이직 시도율은 47%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생산직(생산관리 포함)의 이직 시도율이 63%로 가장 높았다. 반면 항공 서비스직(운항 포함)은 37%의 이직 시도율을 보여 직군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 업계별로는 가구 및 인테리어 업계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59%로 가장 높았으며 공기업 직장인의 이직 시도율이 39%로 가장 낮았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
지난해 재직자들의 이직 시도율이 낮은 기업들의 공통점을 분석해 보니 워라밸, 동료 관계, 표현의 자유의 3가지 요인의 만족도가 높게 드러났다. 워라밸은 회사를 다니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지, 동료 관계는 동료들에게 충분한 업무 지원을 받고 있는지, 표현의 자유는 회사에서 어떤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번 조사 자문 위원인 한국노동연구원 이정희 연구위원과 일본 사이타마 대학교 노성철 교수는 “이번 조사는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이 인재 이탈을 막고 건강한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두려움 없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는 채널이 존재하는 것만으로도 재직자의 이직 선택에 대한 방지턱 역할을 한다”라고 설명했다.
블라인드의 경력직 채용 플랫폼 블라인드 하이어 전유정 사업 총괄은 “경력직들은 이직 시 연봉만큼이나 기업 문화를 크게 고려한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은 물론 대기업까지 수평적인 기업 문화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직급과 관계없이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구성원 간 자유롭게 소통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인재 확보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