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 AI는 개발자를 대체할 수 있을까? 생성 AI가 개발 업무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전망이 잇따르는 가운데, 실제 개발자들의 생각은 어떨까.
원티드랩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6%는 일부 업무를 대체할 것이라고 답했으며,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는 응답도 8.2%에 달했다. 대체가 불가능 할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8.2%였다.
생성 AI가 개발자를 대체할 수 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그 시기를 언제로 예측할까. 응답자의 27.6%는 5년 이상~10년 미만을 예상했다. 다음으로는 △3년 이상~5년 미만(25.3%) △1년 이상~3년 미만(21.2%) △1년 미만(2.9%) 순이었다. 대체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나, 구체적으로 그 시기를 특정할 수 없다 등의 사유로 ‘기타’를 택한 응답자도 23%에 달했다.
개발자들이 현재 생성 AI의 개발 실력을 몇 년차 개발자 수준으로 생각하고 있는지도 조사했다. 약 절반(42.9%)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1~3년차 수준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3~5년차(30.6%) △5~7년차(10.6%) △신입(7.6%) △10년차 초과(4.7%) △7~10년차(2.4%) 등이었다.
지난해 기술 변화의 중심에는 생성 AI가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개발자들은 생성 AI가 촉발한 기술 변화를 크게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응답자의 83.4%가 지난해 기술 변화를 체감했다고 답했다.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은 40.2%, 약간의 변화가 있다는 응답은 43.2%였다. 직무별[1]로 기술 변화에 대한 체감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생성 AI 활용도가 높은 AI 엔지니어 직무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70%에 달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술 변화는 실제 개발자들의 업무에도 영향을 끼쳤을까. 응답자의 69.4%가 기술 변화가 업무에 영향을 끼쳤다고 답했다. 직무별로 살펴봤을 때, 기술 변화 체감도가 높았던 AI 엔지니어 직무에서는 90%가 기술 변화가 업무에 영향을 끼쳤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데이터 엔지니어(81.8%) △풀스택 개발자(71.1%) △프론트엔드 개발자(70%) △백엔드 개발자(68.5%) 순이었다.
약 절반(42.9%)에 이르는 응답자가 지난해 이직시장이 2022년 대비 어려웠다고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22.9%는 비슷한 수준이라고 했으며, 3.5%는 오히려 쉬웠다고 답했다. 지난해 이직을 시도하지 않아 따로 비교가 어렵다고 답한 응답자는 30.7%였다.
개발자들이 이직 시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도 살펴봤다. 중복 응답으로 선택했을 때, 연봉(76.5%)이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근무조건(54.1%) △개인의 성장가능성(45.3%) △개발문화(27.1%) △동료 및 팀 분위기(22.9%) △연봉 외 복지(22.4%) △기업의 성장가능성(18.8%) 순이었다.
지난 2022년 조사[2]와 비교했을 때, 연봉을 제외한 다른 항목에서 일부 순위 변동이 있었다. 순위가 상승한 항목은 △근무조건(3위→2위) △연봉 외 복지(7위→6위)이며, △개인의 성장가능성(2위→3위) △동료 및 팀 분위기(4위→5위) △기업의 성장가능성(5위→7위) 등은 순위가 하락했다. 이직 시 고려하는 주요 요소로 연봉, 근무조건, 연봉 외 복지 등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항목의 중요성이 보다 높아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이번 리포트는 원티드를 이용하는 개발자 18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일부터 7일까지 6일간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지난 한 해 동안 개발자들이 체감한 △생성 AI가 업무에 끼친 영향 △기술 변화 △이직시장 변화 등을 담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