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년 간 기업과 기관 등에서 서체를 개발해 무료로 공개하고 있다. 관공서와 네이버 등 일반 기업, 그리고 우아한형제들과 스포카, 야놀자 등 각 스타트업도 이 대열에 동참하는 중이다.
서체 개발은 기업(기관)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기업 이미지(CI) 활동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월 ‘스포카 한 산스’ 2.0 버전을 공개한 스포카 측은 “서체 개발은 각 기업(기관)이 바라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위해 이뤄지지만, 이를 무료로 공개하는 것은 더욱 많은 대중이 오픈 소스 방식을 통해 우리 서체를 쓰고 함께 개선되고 성장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처럼 오픈 소스로 공개된 글꼴은 웹·앱 상에서 디자인 작업을 하는 기업 및 일반 시민에게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무료 글꼴이 반가운 이유는 저작권 문제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작업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상업적으로 사용 가능한 무료 글꼴·이미지 정보를 살펴봤다.
▲기업이 상업적으로 사용해도 좋은 무료 폰트
1.제한 없이 누구나 쓸 수 있는 서체
<관공서, 기관>
- -서울시 : 서울한강체, 서울남산체, 서울한강 장체 5종, 서울남산 장체 5종
- -부산시 : 부산바다체
- -아산시 : 이순신체
- -제주도청 : 제주고딕,제주명조,제주한라산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청소년체
- -동그라미재단 : 동그라미재단 서체
<기업>
- -구글 노토 산스 CJK : 어도비 본고딕
- -네이버 : 나눔글꼴모음(나눔스퀘어, 나눔바른펜, 나눔바른고딕, 나눔글꼴에코, 나눔손글씨, 나눔고딕, 나눔명조)
- -우아한형제들 : 한나체,주아체,도현체,연성체
- -스포카 : 스포카 한 산스
- -야놀자 : 야체
- -한글과컴퓨터 : 함초롬체
- -한겨레 말글연구소 : 한겨레결체
- -조선일보 : 조선일보명조체
‘
폰트 ‘KoPub돋움’, ‘KoPub바탕’ 사진 제공=한국출판인회의
2.상업적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나 제약이 있는 경우
- -디컴즈 : 전라북도체, 김제시체 (앱이나 기기에 임베드, 원본 글꼴 변형, cid, type3 등- 이는 라이센스를 해야 가능)
- -한국출판인회의 : KoPub돋움, KoPub바탕 (사용 허가를 받으려면 협회 당국의 승인이 있어야 함, 이메일로 문의 가능)
- -아모레퍼시픽 : 아리따 돋움, 아리따 산스, 아리따 흑체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지만 BI·CI에 사용 불가)
- -롯데마트 : 통큰서체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시 사용요청서를 보내야 함)
3. 무료 이미지 사이트
- -픽사베이(pixabay) : http://pixabay.com/
- -언스플래시(UNSPLASH) : https://unsplash.com/
- -모규파일(Morguefile) : https://morguefile.com/
- -픽점보(picjumbo) : http://picjumbo.com/
- -스플릿샤이어(Splitshire) : http://splitshire.com
- -리틀비주얼스(littlevisuals) : http://littlevisuals.co/
- -수퍼페이머스 : superfamous: http://superfamous.com/
- -getrefe : http://getrefe.tumblr.com/
- -gratisography : http://www.gratisography.com/
- -Public domain archive : http://publicdomainarchive.com
- -Fooddiesfeed : http://foodiesfeed.com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