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로아인벤션랩, 국내 5대 온디멘드 스타트업 투자 분석 보고서 발간

로아인벤션랩이 국내 온디멘드(On-Demand) 스타트업 생태계 동향분석 보고서를 웰컴금융그룹과 공동으로 발행했다.

국내 온디멘드 서비스 테크 플랫폼 동향 분석 보고서로 명명된 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온디멘드 서비스의 이해국내 온디멘드 스타트업 투자 현황 및 동향 분석온디멘드 시대의 금융 서비스결론 및 시사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및 2018(5월 말 기준국내 스타트업 투자규모(미공개 투자분 제외)는 금액 기준으로 9,678억 원, 5,585억 원으로 집계됐다이 중 대표적인 온디멘드 서비스 분야인 모빌리티, 푸드, 홈서비스, 레저, 펫앤룩 영역의 스타트업 투자 규모는 2017년 3,845, 20185월 말 기준, 2,005억 원으로 전체 투자대비 39.7%, 35.9%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대 온디멘드 서비스 영역별 투자 동향을 살펴보면, 2017년에는 식품, 배달(Food & Delivery)과 홈서비스, 예약(Home Service & Reservation) 영역에 대한 투자가 두드러졌다이는 국내 최대 숙박예약 O2O 플랫폼 야놀자의 800억 원 투자유치를 비롯해 상위 10개 기업 중 6개 기업이 해당 분야 스타트업으로 나타났다반면, 2018년에는 오토모티브, 모빌리티(Automotive & Mobility), 레저,인포테인먼트(Leisure & Infortainment) 영역의 투자가 두드러지고 있다. 2018년 5월 말 기준온디멘드 서비스 영역 투자유치 상위 10개 기업을 보면쏘카(600억 원)를 비롯하여 트리플왓챠와그트래블 등 자동차 및 레저 영역 투자가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투자금액의 대부분이 상위 10개 기업에 집중되고 있으며결국 해당 영역의 상위 기업이 얼마나 투자를 받느냐에 따라 각 영역에 대한 투자 집중도에 차이가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로아인벤션랩의 자체 분석에 따르면, 2018년 국내 온디멘드 서비스 전체 투자비중은 2018년 전체 누적 예상 투자금액 19,812억 원 중약 40%인 총 7,900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이다이는 2017년 전체 온디멘드 투자액의 2배에 달하는 수치이다또한이 보고서에서는 온디멘드 서비스 영역에 적용되고 있는 블록체인머신러닝/딥러닝 등의 핵심 기술에 대한 해외 활용 사례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본 보고서 발행을 주도한 로아인벤션랩 김진영 대표는 향후 온디멘드 서비스 플랫폼은 고객과 관련된 데이터를 계속 축적하고 이를 머신러닝/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고도의 추천매칭 서비스로 진화시킬 수 있는 이른 바 데이터를 자본화(Capitalize)할 수 있는 온디멘드 스타트업팀이 시장에서 각광받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 보고서는 웰컴 스타트업” 공식홈페이지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기자 / 인생의 최고 목표는 행복입니다. Stephanie Seo is a Editor of Platum. She covers a korea startup’s ecosystem with their team. She wants to watch the Korea startup growing into a great global company.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투자

카카오벤처스, 2024년 140억 원 투자 집행

투자

매쉬업엔젤스,딥러닝 음성합성 기술 스타트업 ‘라이언로켓’에 투자

투자

올해 8월까지 벤처투자 2조8,000억, 펀드 결성액 2조1,800억 규모

투자

로아인벤션랩-생각하는 늑대, 퍼포먼스 마케팅 투자조합 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