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생계형 창업 줄고, 기회형 창업 늘었다…한국 창업생태계 지표 개선 양상

21일 발표된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이하 “GEM”)에 따르면, 한국의 창업생태계관련 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성인조사(APS)의 경우 전 세계 49개 국가가 참여하였으며, 창업태도, 창업활동, 창업열망을 구성하는 주요 지표별 지수와 국가별 순위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은 총 17개의 조사항목 중 16개의 지표에서 개선이 이루어졌다.

특히 기회형 창업은 전년대비 2.9%p 증가한 67.1%로 전체 국가 중 4위로 전년대비 4단계 상승하였으며, 반대로 생계형 창업은 전년대비 1.0%p 감소한 21.0%로 전체 국가 중 27위로 전년대비 4단계 하락(개선됨)하였다.

그 외에도 ‘직업선택 시 창업 선호(53.0%, 전년대비 5.8%p 증가, 37위)’, ‘성공한 창업가에 대한 사회인식(70.0%, 전년대비 1.4%p 증가, 26위)’, ‘언론의 창업 관심도(67.1%, 전년대비 6.6%p 증가, 16위)’ 등 다양한 지표에서 나아진 모습을 보여줬다.

국가전문가조사(NES)의 경우 전 세계 54개 국가가 참여하였으며, 12개 지표 중 6개는 크게 개선되었으며, 6개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창업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적절한지를 확인하는 ‘정부정책(적절성)’은 전년대비 0.38점 증가한 6.14점으로 전체 국가 중 5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세금과 기타 정부 규제에 대한 수준을 확인하는 ‘정부정책(규제완화)’은 전체 국가 중 순위는 17위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한 단계 상승하였다.

또한, 정부와 민간의 금융 지원 수준이 적절하고 충분한지를 평가하는 ‘재무적 환경’은 11단계 오른 25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최근 정책자금 연대보증 폐지 등과, 벤처투자 증가세로 창업기업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아쉬운 지표도 보인다. 창업에 대한 개인적 인지인 ‘실패의 두려움(32.8%, 전년대비 0.6%p 증가, 28위)’은 소폭 증가(7단계 상승)하며 상대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 보고서는 매년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협회(이하 “GERA”)가 창업생태계 전반에 관해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 후 발표한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