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국내 개발자 87%이상은 집이 아니라 출근한다…강남구 근무 가장 많아

개발자 커리어 플랫폼 ‘프로그래머스’가 5일 공개한 ‘2022 프로그래머스 개발자 설문조사 리포트’에 따르면, 코로나19로 많은 IT 기업들이 연이어 재택근무 체제를 선언한 것과 달리, 개발자의 49.5% 는 회사로 출근한다고 응답했다. 재택근무와 출근을 병행하는 개발자는 38.3%, 재택근무만 하는 개발자가 12.2%로 총 응답자 중 87.8%의 개발자는 회사로 출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개발자가 근무하는 한국의 실리콘밸리는 서울시 강남구(25.3%)로 나타났으며, 네이버, 엔씨소프트 등 IT 기업이 다수 포진되어 있는 경기도 성남시(14.5%)가 2위, 강남구 옆에 위치한 서초구(6%)가 3위를 기록했다. 프로그래머스는 몇몇 기업들이 개발자 채용을 위해 강남으로 소재지를 옮기는 것이 개발자 선호지역 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분석했다.

연소득 관련 질문에서는 설문에 참여한 개발자의 43.5% 만이 4천만 원 이상을 받는다고 답했다. 개발자 영입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처우개선과 사이닝 보너스, 스톡 옵션 제공이 연일 화제가 되고 있으나 모든 개발자가 고액의 연봉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자들이 회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중복응답)은 연소득/인센티브/스톡옵션 등의 금전적 보상(60.3%)이었으며, 다음으로 동료(55.1%)와 개발 스택/환경(47.7%)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개발자들이 선택한 회사를 선택하는 기준 TOP3는 매년 변하지 않는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에디터(최대 2개 선택)는 Visual Studio Code(56.3%), IntelliJ(29.6%), Eclipse(17.7%) 순이었다. Visual Studio Code는 2020년 46.5%와 비교하여 10% 가까이 사용량이 증가했다. 또한 새롭게 배우고 싶거나 배울 필요성을 느끼는 언어는 Kotlin(15.5%), Go(15.3%), TypeScript(12.5) 순이었다. 2020년 1위를 차지한 Python의 경우 4위로 하락했는데, 이미 많은 개발자들이 Python에 익숙해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매일 밤샘 근무를 하는 개발자 이미지와 달리 34.7% 개발자는 야근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또는 거의 매일 높은 강도로 야근하는 개발자는 13%로 응답자 중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개발자들이 채용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곳(중복응답)은 각 기업의 채용 페이지(44.0%)였다. 다음은 개발자 채용 정보만을 다루는 프로그래머스(42.1%)였으며, 일반 채용 플랫폼에서는 원티드(41.0%)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리포트는 개발자 5,362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 3일부터 31일간 실시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합되었다. 이번 리포트에는 근무 지역 및 형태, 평균 연소득, 자주 사용하는 툴, 배우고 싶은 프로그래밍 언어, 이직과 구직 시 중요한 점 △채용 정보와 개발 트렌드를 얻는 곳 등 총 35문항을 수록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그렙 연간 리포트, 모니토 도입 기업 56% 비용 30% 이상 절감

스타트업

그렙, B2B 프로그래밍 교육 서비스 진출 본격화···‘프로그래머스 캠퍼스’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