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직장인 80% 이상, 연봉 ‘협상’ 아닌 ‘통보’

연봉은 직장인들의 변함없는 관심사 중 하나지만, 한편으로는 가까운 친구나 동료끼리도 터놓기 어려운 주제다. 경기가 좋지 않았던 지난해, 직장인들의 연봉 인상률은 어땠을까. 그리고 이들이 기대하는 올해 연봉 인상률은 얼마일까.

HR테크 기업 원티드랩이 1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리포트 일: 연봉 편>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절반(45.2%)이 3,000만 원 이상~5,000만 원 미만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4,000만 원 이상~5,000만 원 미만(22.9%)과 3,000만 원 이상~4,000만 원 미만(22.3%)이었다. 다음으로 △5,000만 원 이상~6,000만 원 미만(14.6%) △6,000만 원 이상~7,000만 원 미만(11%) △7,000만 원 이상~8,000만 원 미만(9.6%) 순이었다.

응답자의 70% 이상이 현재 연봉 수준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현재 연봉이 매우 부족하다고 답한 응답자도 18.9%에 이르렀다. 반면 응답자의 25.7%는 현재 연봉 수준이 적당하다고 답했으며, 2.2%는 오히려 약간 과분하다고 답했다.

연봉이 직장 생활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했을 때, 응답자의 66.2%가 매우 큰 영향을 준다고 했으며, 연봉이 직장 생활의 전부라고 답한 응답자도 16%에 달했다. 단 1% 만이 연봉이 직장 생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했다.

2023년 연봉 인상률을 살펴봤을 때, 약 절반에 이르는 응답자가 2023년 물가 상승률 전망치인 3.6%보다 낮은 수준으로 연봉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 이상~3% 이하가 26.6%였으며, 동결도 19.5%였다. 어려웠던 경기 상황이 직장인들의 연봉 인상률에도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직장인들이 예상하는 2023년 대비 2024년 연봉 인상률은 어떤 수준일까. 절반이 넘는 응답자(53.5%)가 2023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2023년 연봉 인상률 설문결과를 감안하면, 최대 3% 수준의 연봉 인상을 예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2024년 연봉 인상률에 대해 2023년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응답자는 15.7% 수준에 불과했다.

관련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물가 상승률을 감안했을 때 최소한의 연봉 인상률은 4% 이상~6% 이하(34.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7% 이상~9% 이하(30.1%) △10% 이상(26.4%) △1% 이상~3% 이하(5.6%) △동결(3.2%) 순이었다.

직장인들에게 연봉협상이란 한 해 업무 성과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받는 것을 뜻한다. 이 과정에서 개인과 기업의 의견 차이가 발생하기도 하고, 이를 협상을 통해 조율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실제로 직장인들은 연봉협상을 통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고 있을까.

응답자의 82.4%가 연봉 협상이 아닌 통보가 이뤄지고 있다고 답했다. 앞서 응답자의 70% 이상이 자신의 연봉이 적은 편이라고 답한 점을 고려할 때, 연봉 인상률이 다소 만족스럽지 않더라도 회사에서 제안한 금액을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연봉 협상 및 계약 시에는 기본 연봉 외에도 추가적인 보상, 근무형태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게 된다. 그중 직장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인센티브⋅보너스(41.8%)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근무형태(24.6%) △점심식대(12.3%) △근무시간(11.2%) △사이닝보너스⋅스톡옵션(6.6%) 등이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원티드랩, 2024년 매출 367억 원… AI 기반 서비스로 HR 시장 공략

이벤트

리모트, 원티드랩과 내달 ‘글로벌 기업 HR 프라이빗 모임’ 개최

스타트업 이벤트

원티드랩, AI 전문기업들과 손잡고 ‘엔터프라이즈 AX 얼라이언스’ 출범

스타트업

원티드랩, AI 특화 ‘원티드 그라운드’ 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