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국내외 전문가들 모여 글로벌 투자 허브 진출 노하우 공유

벤처투자법학회가 최근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투자 전략을 집중 조명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벤처투자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11월 28일 서울 강남구 한국무역협회(KITA)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열린 ‘VCC(Variable Capital Company) 플레이북’ 세미나는 벤처투자법학회가 법무법인 미션, 싱가포르 로펌 ‘슈크 린 앤드 복(Shook Lin & Bok)’과 공동으로 주최했다.

폭설에도 불구하고 국내 벤처캐피탈(VC) 업계 관계자와 법률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해 동남아시아 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영어로 진행된 본 세션에는 실시간 문자 동시통역 서비스 ‘이벤트캣(eventCAT)’이 제공되어 참석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법무법인 미션의 김성훈 대표 변호사는 개회사에서 “이번 세미나를 통해 싱가포르 중심의 투자 구조와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벤처투자 생태계의 연결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미나는 싱가포르 경제개발청(EDB)의 트레버 웡 한국·일본 지역 디렉터의 발표로 시작됐다. 웡 디렉터는 “EDB는 외국인 투자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와 펀드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히며 싱가포르와 동남아시아 시장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체르카노 매니지먼트의 다니카 아리아드나 부사장은 동남아시아 투자 트렜드를 분석했다. 아리아드나 부사장은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시아 지역은 여전히 투자유치시장이 역동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슈크 린 앤드 복의 잉 이 샤오우 파트너 변호사는 싱가포르의 시리즈 파이낸싱 조건과 민간 기업 구조에 대해 안내했다. 샤오우 변호사는 싱가포르에서의 자금조달과 관련한 핵심 요소들을 요약해 설명했다.

후반부 세션에서는 슈크 린 앤드 복의 탠 운 흄과 이안 츄 파트너 변호사가 화상으로 참석해 VCC를 포함한 싱가포르 펀드 설립에 대한 전문적인 견해를 공유했다. 두 변호사는 “싱가포르가 전통적 조세 피난처에서 벗어나 자산 관리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현지 규제와 심사 기준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세미나 마지막 순서로 진행된 패널 토크에서는 모든 연사가 참여해 한국에 관심을 가지게 된 배경과 싱가포르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등을 논의했다.

벤처투자법학회 회장인 김성훈 대표변호사는 “이번 세미나를 통해 글로벌 투자 생태계의 핵심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싱가포르 벤처투자 생태계와 싱가포르의 VCC 구조에 대한 실무적인 정보와 전략이 논의될 수 있었다”며 향후 계획을 밝혔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쿼리파이, 싱가포르 정부 지원 글로벌 사이버보안 프로그램 선정

스타트업

고피자, 즉석조리 피자로 싱가포르 편의점 입점

이벤트

법무법인 미션, 美 진출 기업 위한 ‘VALLEY GO BEYOND’ 성료

이벤트

법무법인 미션, 스탠포드서 글로벌 전략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