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아태 비게임 앱 시장 급성장…’한국 만화 앱’ 글로벌 시장 두각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비게임 앱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4년 180억 달러 규모에 도달했다. 특히 숏폼 드라마 앱이 새로운 수익원으로 부상하고 있다.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기업 센서타워(Sensor Tower)가 발표한 ‘2025년 아시아 태평양 퍼블리셔의 비게임 앱 시장 인사이트’ 리포트에 따르면, 2024년 아시아 태평양 상위 100개 비게임 퍼블리셔 앱의 수익은 전년 대비 25% 성장한 1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 세계 비게임 앱 시장 역시 빠른 성장을 거듭해 2024년 수익은 25% 증가한 692억 달러에 달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 앱 수익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195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 퍼블리셔들의 비게임 앱 중 가장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 것은 숏폼 드라마 앱이다. 이 카테고리의 수익은 2024년 14.1배 급증한 14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다운로드 수는 8.6배 증가한 5억 건을 넘어섰다.

‘드라마박스’는 2024년 수익과 다운로드 수가 각각 26배, 40배 급증하며 숏폼 드라마 앱 수익, 다운로드, 평균 월간 활성 사용자 수 모든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숏맥스’ 역시 수익과 다운로드가 각각 28배, 39배 증가하며 다운로드와 평균 월간 활성 사용자 수 부문에서 2위에 올랐다.

중국 iOS 시장에서도 숏폼 드라마의 인기는 뚜렷했다. ‘Hongguoduanju (红果短剧)’는 2024년 하반기에 다운로드 수가 572% 급증하며 8월부터 중국의 대표적 숏폼 비디오 플랫폼 ‘더우인(抖音)’을 추월하기 시작했다.

한국 기업들의 만화 앱도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카카오의 ‘픽코마’와 라인의 ‘라인 망가’는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아태 퍼블리셔 앱 수익 순위에서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일본 시장에서는 이 두 앱이 수익 순위 1, 2위를 석권했으며, 2024년 말까지 각각 32억 달러와 29억 달러에 육박하는 인앱구매 수익을 기록했다.

한국 시장에서는 ‘카카오페이지’가 수익 순위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말까지 전 세계 누적 수익은 4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다운로드당 평균 결제 금액은 95달러에 달했다. 스트리밍 동영상 플랫폼 ‘티빙’은 48% 증가한 약 77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하며 수익 순위 2위에 올랐다.

한편, AI 기술의 발전으로 사진 및 동영상 앱의 수익도 78% 급증했으며,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앱 ‘테무’는 한국 시장에서 2024년 다운로드가 139% 급증하며 비게임 앱 다운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틱톡은 2024년에도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아태 퍼블리셔 비게임 앱 수익 1위 자리를 지켰으며, ‘테무’는 다운로드 2위와 다운로드 성장 1위를 기록했다.

플래텀 중국 연구소장 / 편견 없는 시각으로 중국의 정치·경제·사회 현상을 관찰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현지 상황을 이해하려 노력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공통 경험의 종말… 유튜브가 ‘인기 급상승’ 버린 이유”

스타트업

리디, 글로벌 숏드라마 플랫폼 ‘칸타(Kanta)’ 일본 출시

이벤트

틱톡, 국내외 크리에이터 350명과 콘텐츠 생태계 발전 논의

스타트업

스푼랩스, 숏드라마 플랫폼 ‘비글루’에 AI 제작 시스템 본격 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