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은 대선을 앞두고 차기 정부를 위한 스타트업 정책제안서 ‘스타트업이 만드는 새로운 대한민국: 스케일업 코리아(Scale-up Korea)‘를 발행했다.
이번 제안서는 조기 대선 과정에서 스타트업을 국가 미래 전략의 핵심으로 삼고자 구성된 코스포 정책 태스크포스(TF)의 작업 결과물이다.
정책 TF는 코스포 대외정책분과 공동위원장인 정지은 코딧 대표와 이현재 예스퓨처 대표를 주축으로 주요 회원사 창업가, 스타트업 생태계 관계자,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정책 수요자이자 설계자인 스타트업이 주체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요구를 넘어선 실질적 정책 제안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코스포는 이번 제안서를 통해 스타트업을 단순한 창업의 주체가 아닌 사회 문제 해결과 기술 기반 산업 혁신의 중심 축으로 규정하고, 차기 정부가 민간의 혁신 역량을 적극 활용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할 것을 강조했다.
특히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과 인구구조 변화 등 구조적 도전 속에서 스타트업은 비즈니스모델 다각화, 고용 창출, 세수 확대, 사회적 가치 실현 등 국가 경제 전반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 자산임을 분명히 했다.
코스포 측은 “차기 정부는 ‘100일 안에 규제 100개를 푼다’는 각오로 과감한 개혁에 나서야 하며,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에 발맞춘 정밀하고 유연한 규제 혁신이 절실하다”며 “낡은 제도에 가로막힌 현장의 혁신을 해소하고, 스타트업이 실제로 창업하기 좋은 나라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타트업 정책제안서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 혁신 인프라로 국가 리디자인, 스타트업 중심의 제도 리빌딩 3대 정책방향과 9대 핵심과제를 제시했다.
정지은 코스포 대외정책분과 공동위원장(코딧 대표)은 “스타트업은 국가 비즈니스모델 다각화의 핵심 주체이자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이번 제안서는 빠른 실행이 가능한 규제 개선 과제부터 패스트트랙 대상 정책까지, 실행 중심 개혁 방향을 담고 있다. 특히 새 정부에서는 스타트업이 정책 및 규제 설계 과정에서부터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소통 창구가 반드시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상우 코스포 의장은 “코스포는 스타트업이 직면한 제도적 불합리와 규제의 모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다”며 “이번 제안서가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신산업의 질적 성장을 지원함은 물론, 민간 기술과 공공혁신이 연결되는 디지털 전환 생태계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코스포는 국내 최대 스타트업 협회로, 2500여개 회원사와 스타트업을 위한 비즈니스 환경 개선과 정책 제안, 글로벌 진출 지원 등 폭넓은 활동을 펼쳐왔다. 지난해 기준 코스포 회원사의 연매출 규모는 약 20조, 고용 규모는 약 5만명, 누적 투자유치 금액은 약 33조원에 달한다. 코스포는 19·20대 대선에서의 정책 반영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신정부의 스타트업 정책을 한층 도약시킬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