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카카오뱅크, ‘내 신용정보’ 이용자 1천만 명 돌파

카카오뱅크의 ‘내 신용정보 서비스’ 이용자 수가 1천만 명을 넘어섰다.

내 신용정보 서비스는 고객이 카카오뱅크 앱에서 신용 점수와 카드 이용 금액, 대출 보유 현황, 연체 · 보증 내역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개인 신용관리 서비스다.

2018년 10월 서비스를 선보인 이후 신용점수 올리기, 신용 분석 리포트 등 신규 기능들을 추가하고 서비스를 지속 고도화한 결과, 내 신용정보 서비스는 출시 6년반만에 1천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하며 편리한 신용관리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카카오뱅크는 신용점수 올리기 기능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고객이 내 신용정보 서비스 페이지에서 신용점수 올리기 버튼을 선택하면 고객의 경제활동을 증명하는 건강보험 납부 내역 등의 서류가 신용평가사에 제출되며, 제출 서류가 인정되면 실시간으로 신용 점수가 올라갈 수 있다. 약 200만 명의 고객이 신용점수 올리기를 통해 신용점수 상승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말부터는 매달 고객의 신용정보 분석 결과를 담은 신용리포트도 제공하고 있다. 고객은 신용리포트를 통해 신용점수에 영향을 준 요인별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개인 대출 현황 및 카드값 등을 동일 연령대 평균과 비교해서 보는 것도 가능하다.

신용 관리 서비스에 더하여, 고객의 대출 여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카카오뱅크 앱에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강화해나가고 있다. 실제로 최근 6개월간 대출 서비스 이용 고객 중 240만 명이 ‘대출 비교하기’를 조회하고 이 가운데 4명 중 1명은 대출 심사까지 진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고객이 본인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과 예상 대출한도를 조회할 수 있는 ‘내 DSR 정보’, 총 대출 이자와 월 상환금액을 확인할 수 있는 ‘이자 계산기’를 통해 대출을 신청하기 전 필요한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셋집 ‘안전도’를 주기적으로 진단해주는 ‘똑똑한 전세 관리’, 전세와 월세 중 어느것이 유리한지 비교할 수 있는 ‘전세 vs 월세 계산기’ 등 전월세보증금 대출 수요 고객을 위한 서비스도 마련돼있다.

대출에 필요한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찾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카카오뱅크 대출 관련 서비스에 대한 MAU(월간활성이용자수)는 지난달 400만 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카카오뱅크는 “효율적인 자산 관리를 위해 편리한 서비스를 선보여 천 만 명이 넘는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고객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발굴해 더 나은 금융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카카오뱅크, 수익구조 다변화…비이자수익 비중 36%

스타트업

카카오뱅크, 증권계좌 700만 좌… 연내 제휴 증권사 8곳으로 확대 예정

이벤트 스타트업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 “금융의 미래, AI와 고객 중심 사고의 결합에 있다”

스타트업

카카오뱅크, 코인원과 함께 ‘가상자산 시세조회 서비스’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