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中 두 자녀 정책 시행 … 알리바바 티몰 1월 영·유아 거래액 27% 상승

556c5f25-8e19-4287-bf48-3f6f0b634c0d

중국 두 자녀 정책 시행으로 국내 영∙유아 업계 중소기업들의 중국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알리바바 공식 파트너사인 에이컴메이트가 2016년 1월 1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알리바바 티몰 영∙유아(母婴) 카테고리 거래액을 분석한 결과 전년 동월 대비 27%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알리바바 티몰 2016년 영∙유아 카테고리 1월 거래액은 31억9,578만 위안(5천859억 원)으로 전년 동월인 2015년 1월 거래액 25억125만 위안(4천586억 원) 보다 약 1천273억 원 늘어났다. 특히 아동복 카테고리는 지난해 7억3,776만 위안(1천352억 원)에서 10억2,368만 위안(1천876억 원)으로 올라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출산율이 얼마나 늘어날지는 미지수라는 정책시행 초반 우려와는 달리 시장수요가 즉각적으로 상승한 것.이에 중국 두 자녀 정책이 불러올 수 있는 긍정적 파급 효과에 국내 유통업계의 관심이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언론보도에 따르면 두 자녀 정책 시행에 따라 매년 출산율이 100~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2018년 신생아 수는 2,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미 중국 내에는 새로운 베이비붐 가능성이 커지면서 분유를 비롯한 영·유아용품은 물론 보건의료,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엔젤산업 성장 기대감에 한껏 들떠있는 분위기다. 국내 역직구 시장 상황도 다르지 않다.한국 제품은 중국 내에서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도 합리적으로 평가 받고 있어 중국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중국 부모들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바링허우, 지우링허우 세대들은 가격이 조금 비싸더라도 품질과 안전성이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는 구매경향이 있다. 또한 ‘한류 육아’에 대한 중국 부모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국산 영∙유아 브랜드 선호현상과 제품 구매로까지 빠르게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주요 영∙유아 브랜드의 중국 플랫폼 입점 및 인프라 구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에이컴메이트의 송종선 상해법인 대표는 “중국 경제는 정부 정책에 발맞춰 움직이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번 두 자녀 정책 시행은 중국 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국내 영·유아 기업에 굉장한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중화권 전문기자 / 이주현 기자는 대중국 비즈니스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 IT 스타트업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알리바바 클라우드, 1조 파라미터 AI 모델 공개…”오픈AI 맹추격”

글로벌

알리바바 클라우드, 차세대 AI 혁신을 뒷받침할 글로벌 확장 계획 발표

글로벌

알리바바, ‘딥 리서치’ 대응하는 AI 에이전트 오픈소스로 공개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알리바바 자회사 반마네트워크, 홍콩 IPO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