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스타트업트렌드

중국 맛집평가 서비스 디엔핑(Dianping-大众点评)의 역습

8b51ecc8623145b53216f4301539bdef

  •  중국 최대 맛집 평가 사이트 중국 주요도시 맛집 정보 수록 ‘따종디엔핑(大众点评)’
  • 모바일 사용자 5400만명 돌파, 최근 Open API 공개

넓은 영토를 가지고 있는 중국은 메타정보 서비스가 많은 편이다. 그 중에서도 중국의 맛집 및 관광지 등 장소를 찾겠노라 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디엔핑왕(大众点评网-‘대중이 평가한다’라는 뜻)을 사용한다. 오늘날 따중디엔핑은 중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소셜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O2O(Online to Offline)영역에서 엄청난 효과를 보고 있다.

디엔핑의 가장 큰 특징은 사용자들의 평가(별점) 로 맛집소개를 한다는 것이다. 디엔핑은 중국 현지 레스토랑이 직접 정보를 입력하고 소비자의 피드백을 통해 DB를 쌓아가는 형태이다. 개인이 방문한 식당에 대해 후기와 평점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소셜커머스 쿠폰과도 연계해 다양하게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이번주 디엔핑(大众点评)은 지난 2012년  월 14억 PV를 기록(모바일 & 웹 포함)했으며, 모바일 사용자의 트래픽 비중은 이미 60%를 넘어섰다. 아울러  2011년 전년도 대비 170%의 성장률 했다고 발표했다. 

24a2abff5acf15b6b9872ad65e4efa0b

중국 ICT의 화두 O2O(모바일 전자상거래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

디엔핑의 오픈API를 개방하자 바이두(百度) 및 웨이보(微博),웨이신(微信) 등 각종 소셜 플랫폼 업체들은 경계를 하고 있다.   이번 개발자센터를 오픈함에 따라  중국현지 기업 및 글로벌 기업들은 발빠르게 API 제휴 적용하고 있다. 이미 중국 거대 IT 기업 바이두, 텐센트, 알리바바 그룹 등은 LBS, 지도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해왔으며 온라인 기반 서비스 기업들도 O2O시장에 진입을 노리고 있다.

아직 디엔핑의 경우는 예약 기능이 제공 되고 있질 않다. 예약코자 하면 직접 전화로 예약을 해야하는데 국내 서비스 중 아블라컴퍼니의 예약왕 포잉과 같은 예약기능이 결합된다면?

물론 국내의 환경과 중국 현지 환경은 분명히 다르지만 디엔핑과 포잉이 결합된다면 정말 엄청난 서비스가 나오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본다.

 

한국과 중국의 스타트업 생태계를 현장 중심으로 취재하며, 최신 창업 트렌드와 기술 혁신의 흐름을 분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Back to Basics’ 2020년 스타트업 생태계 전망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 & 동향] 중국 인공지능 유니콘 ‘쾅스’ 홍콩에서 IPO 추진

스타트업

포잉, 제주도에서 다이닝 편집숍 오픈

글로벌

데이터 분석이 핵심인 대륙의 O2O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