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알리바바, 분기 매출 전년동기 대비 60% 증가

텐센트에 이어 ‘테크클럽(시총 3000억 달러 이상의 IT 기업군)’에 이름을 올린 알리바바 그룹의 분기 매출이 급증세를 보였다.

알리바바 그룹은 2017 3 31일 기준 마감된 4분기(2017년 1∼3월) 회계연도 실적과 2016년 연간 실적(2016년 4월~2017년 3월)을 18일에 발표했다.

알리바바 그룹은 매출과 순이익이 급증했으며 핵심사업에서도 오름세를 보여줬다. 4분기에 매출 성장률 60%를 기록하며, 상장 이후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56%의 회계 연도 매출 성장률와 함께 약 100억 달러의 비일반회계(비-GAAP) 잉여현금흐름(FCF)을 보여줬다.

[세부 재무정보]

-2017년 3월 31일 마감 1분기 실적

매출은 385억7900만 위안 (56억50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60% 증가.

– 핵심 상거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7% 증가하여 315억7000만 위안 (45억8700만 달러) 기록.

–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03% 증가하여 21억6300만 위안 (3억1400만 달러) 기록.

– 디지털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34% 증가하여 39억2700만 위안 (5억7100만 달러) 기록.

– 혁신 사업을 포함한 기타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88% 증가하여 9억1900만 위안 (1억3300만 달러) 기록.

-알리바바의 중국 소매 마켓플레이스 상 연간 활성구매자 수는 4억5400만명으로 지난 2016년 12월에 마감한 12개월 기간 동안의 수치 대비 1100만명이 더 증가함.

-중국 소매 마켓플레이스에서 월간 모바일 사용자는 3월에 5억700만명에 달해 2016년 12월달 대비 1400만 명이 늘어난 수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내 유료 고객 수는 이전 분기의 765,000명에서 874,000명으로 증가함.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영업손실은 5억500만 위안(7300만 달러)로 조정된 EBITA 손실은 1억6900만 위안 (2400만 달러).

-순이익은 98억5200만 위안 (14억3100만 달러), 영업이익은 95억3200만 위안 (13억8500만 달러), 조정된 EBITDA는 165억9700만 위안 (24억1100만 달러).

-영업이익률은 25%, 조정된 EBITDA 이익률은 43%, 그리고 핵심 상거래의 조정된 EBITA 이익률은 59%.

-희석주당이익 (Diluted EPS)는 4.12 위안 (0.60 달러), 비일반회계(비-GAAP) 기준 희석주당이익은 4.35 위안 (0.63 달러).

-영업활동으로 발생된 순 현금액은 107억4600만 위안 (15억6100만 달러)였으며, 비일반회계 기준 잉여현금흐름은 79억8000만 위안 (11억5900만 달러).

2017년 3월 31일 마감 회계연도 실적

매출은 1582억7300만 위안 (229억9400만 달러)으로 전년동기 대비 56% 증가.

– 핵심 상거래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5% 증가하여 1338억8000만 위안 (194억5000만 달러) 기록.

– 클라우드 컴퓨팅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21% 증가하여 66억6300만 위안 (9억6800만 달러) 기록.

– 디지털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272% 증가하여 147억3300만 위안 (21억4100만 달러) 기록.

– 혁신 사업을 포함한 기타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5% 증가해 29억9700만 위안 (4억3500만 달러) 기록.

· 알리바바의 중국 소매 마켓플레이스 상 연간 활성구매자 수는 4억5400만명으로 지난 2016년 3월에 마감한 12개월 기간 동안의 수치 대비 3100만명이 증가함. 알리익스프레스와 라자다 마켓플레이스 내 연간 활성구매자 수는 8300만명임.

· 중국 소매 마켓플레이스에서 월간 모바일 사용자는 3월에 5억700만명에 달해 2016년 12월달 대비 1400만 명이 늘어난 수치.

· 중국 소매 마켓플레이스에서 2017년 회계연도 기준 연간 총 거래량은 3조7670억 (5470억 달러)으로, 2016년 회계연도 기준 연간 총 거래량인 3조920억 위안 대비 22% 증가한 수치임.

· PC에서 모바일로의 이동에서 발생하는 이용자 증가와 사용량 급증이라는 트랜드를 수익화함. 중국 소매 마켓플레이스 상 모바일 총 거래액은 2조9810억 위안 (4330억 달러)로 총 거래액의 79% 이면서 전년동기 대비 49% 증가한 수치. 중국 소매상거래 사업 기반 모바일 매출은 907억3100만 위안(131억8200만 달러)로 중국 소매상거래 매출의 80%를 차지하며, 전년동기 대비 80% 증가한 수치임. 회계연도 2017년도 간 모바일 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수익화가 PC 플랫폼을 통한 수익화를 넘어섬.

· 알리바바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내 유료 고객 수는 2016년 3월 31일 기준 513,000명에서 874,000명으로 증가함. 2017년 회계연도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내 영업손실은 16억8100만 위안 (2억4400만 달러), 조정된 EBITA 손실은 4억7600만 위안 (6900만 달러).

· 순이익은 412억2,600만 위안 (59억8900만 달러)이며, 영업이익은 480억5,500만 위안 (69억8100만 달러), 조정된 EBITDA는 744억5,600만 위안 (108억1700만 달러).

· 희석주당이익(Diluted EPS)는 16.97 위안 (2.47달러), 비일반회계(비-GAAP) 기준 희석주당이익은 23.44 위안 (3.41 달러).

· 영업활동으로 발생된 현금액은 803억2600만 위안 (116억7000만 달러)였으며, 비일반회계 기준 잉여 현금 흐름은 687억9000만 위안 (99억9400만 달러).

중국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에서 경영학을 전공했습니다. 중국과 한국 ICT 현황에 대한 가감없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ary Li was born in China, but majo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in Korea. She will do her best to convey the impressive information about the ICT situation in Asia.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샤오미 자율주행 인명사고, 화웨이는 최고 성장률 기록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알리바바, 허마 사업 재편 가속화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딥시크, API 서비스 수익성 공개… ‘하루 6억원, 이익률 545%’

글로벌

알리바바 클라우드, ‘큐원 2.5’ 등 첨단 AI 모델·개발툴 대거 선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