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화된 공유 킥보드로 유럽 석권을 노리는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
9일 오전(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 아트뮤지엄(HAM) 부근 자전거 도로에 초록 색상의 20여 대 공유 전동킥보드(이스쿠터)가 세워져 있습니다. 오고가는 시민들이 하나 둘 잡아타니 10시 경에는 한 대도 남지 않았지만, 정오 즈음 없어진 만큼 재배치 됩니다. 아트뮤지엄 뿐만 아니라 헬싱키 도심 곳곳에서 이 초록색 전동 킥보드를 타는 시민을 찾는 것이 어렵지 않았습니다. 그만큼 헬싱키 시민에게 이 서비스는 익숙합니다.
거리에서 만난 헬싱키 시민 아이나씨는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는 납득할 수 있는 가격으로 도심을 쾌적하게 이동할 수 있어 즐겨찾는다”고 말합니다.
해당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 명칭은 ‘티어(TIER)’. 베를린에 본사를 둔 독일 스타트업(TIER Mobility GmbH)’이 운영 주체입니다.
티어는 특정 국가, 도시에 국한되지 않은 범유럽 서비스입니다. 지난해 하반기 론칭되어 헬싱키를 비롯해 스톡홀름, 마드리드, 코펜하겐, 파리, 리옹, 리스본 등 9개 유럽 국가 20여 개 도시에서 1만여 대의 전동 킥보드가 운행되고 있습니다. 출시 8개월 동안 누적 라이딩 숫자는 800만 건, 회사의 목표는 유럽 150개 도시에 진출하는 것입니다. 올 여름 독일을 비롯해 벨기에, 폴란드, 이탈리아 도시에서 이 녹색 전동 스쿠터가 서비스 됩니다.
티어의 사용 방법은 여느 전동 킥보드 서비스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앱을 켜면 가까운 위치에 있는 킥보드의 위치와 숫자, 배터리 상태가 표시됩니다. 1회 이용 가격은 기본 1유로(한화 1300원) 수준이며 일정 시간이 넘어가면 추가 요금이 붙습니다. 보이나 버드나 라임 등 유럽서 서비스되는 서비스와 같은 가격 정책입니다. 최고 속력은 운전면허가 불필요 기준인 20km/h 이하, 헬멧 착용은 의무사항이 아닙니다. 자전거 도로에서만 주행이 가능하지만 자전거 도로가 없을 시에는 자동차 도로에서도 주행 할 수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모국이라 할 수 있는 독일에서 티어는 불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지난달 17일 의회에서 마이크로 모빌리티 합법화가 결정 되어 가장 확장이 용이한 시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티어는 이달 초 확산 전략을 내놓았습니다. 핵심은 많은 국가, 도시로의 확장을 위한 ‘모듈형 전동 키보드’입니다. 유럽 국가마다 상이한 기준과 규제에 맞게 필요한 기능을 넣고 빼는 형태의 모델입니다. 회사측 설명에 따르면, 자주 고장나는 부분에 대한 관리 보수 측면에서도 용이하고, 배터리 등 제품 수명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전략이라고 합니다. 이전까지 티어의 주력 모델은 나인봇의 es2와 es4 모델이었습니다. 이러한 모듈화 디바이스 형태는 스웨덴계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 보이(VOI)도 추진 중입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안전과 관련된 이슈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 한 부분입니다. 2주 전에는 스웨덴에서 공유 모빌리티 이용자 사망 사건이 발생하며 규제 강화 목소리가 크기도 합니다. 티어측은 스마트 브레이크, 충격완화 서스펜션, IOT 기술 등을 도입해 안전 부분도 더 강화한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티어의 모듈화 전략은 투자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회사는 현재 대규모 추가 투자유치 라운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서 티어는 화이트스타, 노스존, 시드인베스트, 포인트나인 등 투자사 로부터 3000만 유로(한화 약 4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최근에는 포뮬러1 세계 챔피언 니코 로스버그가 투자자로 참여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습니다.
유럽에서는 최근 몇 년간 유럽 내에서는 교통문제와 환경오염 등 이슈로 마이크로 모빌리티 이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소유보다 공유하는 시대 트랜드도 한 몫합니다. 여러사람이 함께쓰는 제품이지만 기본적으로 퀄리티가 좋은 모빌리티 제품을 배치하기에 젊은층의 선호도 또한 높습니다.
유럽연합(EU)는 2016년 1월 전기 미니 스쿠터의 사용을 합법화했고, 오스트리아, 스위스, 핀란드, 노르웨이, 벨기에, 덴마크 등 국가가 2018년 초부터 전동 킥보드의 도로주행을 허가했습니다.
하지만 안전부분에 대한 문제제기도 뜨겁습니다. 몇몇 국가에서는 운행정지 조치가 내려지도 했습니다. 하지만 안전과 관련된 법제화와 규제에 맞게 서비스가 보완되면 재개되는 흐름이기도 합니다. 시장조정을 거쳐 안착되어가는 과정으로 읽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