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차세대 글로벌 청년 스타트업 간담회’가 14일 서울 나라키움 청년창업허브에서 열렸다.
이날 간담회는 대통령 취임 3주년 특별담화(5.10)를 통해,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강국’ 도약을 약속한 이후 첫 현장행보라는 점에서, 디지털로 무장한 혁신 벤처와 스타트업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모델을 개척하고 선점하는 “대한민국 경제의 주역”이라는 점을 확고히 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이 자리에는 미국 ‘포브스’의 ‘30세 이하 아시아 글로벌 리더’에 선정된 스타트업 관계자 21명이 동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참석한 스타트업들을 일일이 소개 한 뒤, “혁신창업 현장에서 자랑스러운 청년 스타트업 리더들을 만나게 되어 기쁘다. 코로나19를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벤처스타트업의 활약이 눈부셨다. 코로나 맵, 마스크 맵으로 실시간 정보 제공을 해 주었고, 신속 진단키트 개발로 전세계에 K-방역을 알렸다”며 “정부는 출범 초부터 혁신창업 국가를 핵심 국정과제로 삼아 규제샌드박스와 규제자유특구 등을 도입했다. 혁신적 아이디어가 사업화되어 세계무대에 우뚝 설 수 있도록 정부가 끝까지 힘이 되겠다”고 말했다.
특히, 대통령은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융자, 보증, 시장 개척을 패키지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비대면 디지털 분야 신산업을 우리가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한국판 뉴딜을 과감히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데이터, 5G, AI 등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의 3대 영역의 추진 방안을 곧 국민들께 보고 드리겠다”고 약속했다.
이후 참석기업 우수사례 발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의 혁신 벤처·스타트업 전략 발표, 참석자 간담회 등이 진행됐다. 우수사례 발표자로는 에듀테크 분야 대표기업인 ‘매스프레소’ 이종흔 대표, 이용재 대표가 나섰다.
이어진 간담회에서는 혁신 벤처·스타트업이 중심이 되어 디지털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과 현장의 애로사항들이 논의됐다.
지난해 국내 벤처투자는 약 4.3조원으로, 2018년 대비 25%나 증가하면서 역대 최초로 4조원의 벽을 돌파하였고, 2017년 이후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이 8개가 신규 출현했다. 유니콘 기업 11개 외 기업가치 1천억원 이상의 예비유니콘 기업군도 2017년 115개에서 2019년 235개로 약 2배가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위기 극복 과정에서도 혁신벤처와 스타트업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모델을 선도할 수 있는 역량과 가능성을 입증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확진자의 동선 정보를 제공하던 ‘코로나맵’, 마스크 부족으로 국민들이 줄을 설때 마스크 재고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마스크맵’은 다름아닌 스타트업의 작품이었다.
또한, 바이오 벤처기업은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진단시약과 키트를 조기 개발하여,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였고, 세계에서 수출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최근 벤처투자 흐름을 보더라도, 1분기 전체 신규 벤처투자는 전년동기 대비 4.2%가 감소한 반면, 바이오·의료, ICT 서비스 업종 등은 각각 33.9%, 24.0% 증가하였고, 1분기 전체 신규 벤처투자 중에서 비대면 분야의 벤처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1.7%가 증가하였으며, 주요 증가 분야는 물류·유통(195억원, 226.0%↑), 스마트 헬스케어(599억원, 187.3%↑), 스마트 비즈니스&금융(622억원, 157.7%↑)이었다.
또한, 비대면 분야의 기업당 평균 고용은 37.8명으로, 대면 분야의 평균고용 27.2명보다 높은 고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비대면 분야의 벤처투자는 ’17년 0.8조원에서 ’19년 1.7조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이들 기업의 고용도 약 2.7만명에서 4.7만명으로 늘어나면서 약 2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이를 투자 10억원당 고용 수치로 비교하면, 대면 분야(3.6명)보다 비대면 분야가 1.9명 높은 5.5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차세대 글로벌 청년 스타트업 간담회’ 행사에서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한민국을 대표할 상징적 펀드인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펀드는 언택트·온라인, AI·빅데이터, 바이오 등 코로나19 이후 부각된 신산업에 집중 투자하기 위한 펀드로서, 모태펀드와 더불어 멘토기업 등 민간자본이 조성단계부터 참여하는 민관 공동펀드 방식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정조준하는 대규모의 투자펀드가 질좋은 디지털 일자리를 만드는 혁신 벤처와 스타트업에 중점적으로 공급된다면, 머지않아 대한민국이 세계시장을 선도하게 될 것이라 확신한다”면서, “혁신벤처와 스타트업이 주력이 되어 세계를 선도하는 새로운 혁신 경제모델을 만들면서, 기존의 전통 제조업의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에도 역점을 두어 혁신과 상생이 어우러지는 디지털 강국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