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원더무브, 일반인 대상 출퇴근 카풀, 관심사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선봬

현대자동차 사내스타트업에서 분사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문기업 원더무브(대표 김태원)가 카풀 서비스 원더풀(wonderpool)’을 일반인 대상 모빌리티 서비스로 확장한다.

원더풀 서비스는 불특정인과 함께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 자가용 카풀로 출퇴근하고자 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의 카풀 서비스가 드라이버와 라이더의 직선거리(근접도)였다면, 원더풀은 드라이버와 라이더 간 출퇴근 경로의 유사도를 판단하고매칭하는 알고리즘 매칭 방식으로 진행된다

드라이버와 라이더는 출퇴근이 가능한 카풀 파트너를 손쉽게 확인하고 연결할 수 있는 차별점이 있다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출발지()-도착지(회사)와 출퇴근 시간을 등록하면출퇴근 경로가 생성된다탑승자의 탑승 시간을 기준으로 오전 7~9오후 6~8시만 유상으로 운행 가능하며출퇴근 각 1회만 운행할 수 있다드라이버는 출퇴근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운행하기 때문에 한정적인 시간 내에서출퇴근 카풀이 가능하다.

또한관심사 기반의 시험적인 모빌리티 서비스가 시작된다드라이버나 라이더가 특정 목적취미관심사에 맞게 카풀 커뮤니티를 개설하고운영된다기존의 관심사 기반의 오프라인 모임 서비스를 이동형 모임 서비스로 확장한 모델이다.

골프서핑여행 등 다수의 인원이 같은 취미목적만남을 위해 이동하는 이용자를 대상을 하고이를 확대된 매칭 알고리즘으로 연결하여관심사 기반의 이동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통해 다양하고목적에 맞는 사람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김태원 대표는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도모빌리티 서비스는 많은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원더풀의 다양하고 시험적인 모빌리티 서비스 확장을 지켜봐 달라, “수도권 지역의 나홀로 차량이 거의 100만대로 약 1.8조 시장이다합법적인 운행으로도 충분한 시장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일반인 대상의 확대 서비스는 7월 아이폰을 지원하는 베타 서비스를 출시하고향후 안드로이드로 확대 출시한다이동중인 차량에서 실시간으로 매칭할 수 있는 애플 카플레이 버전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원더무브는 ‘Start-up NEST’ 프로그램 7기에 선정되어 서비스 고도화를 진행 중이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