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을 구매할 때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며 주로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청두지부가 6일 발표한 ‘중국 소비자의 한국제품 평가 및 인식’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품질’이라 응답한 사람이 43%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격’(27%), ‘디자인’(21%) 순이었다. 또한 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경우는 6%에 불과해 제품의 품질, 가격, 디자인을 꼼꼼히 따져보는 이성적 구매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은 품질(28%)과 위생안전(24%)을, 유아용품은 품질(30%)과 안전성(29%)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 품질 못지않게 제품의 안전성에도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였다.
제품을 구매할 때는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구매 방식을 훨씬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은 온라인 구매 비중이 68%~75%에 달했고 유아용품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가장 낮았음에도 절반 이상인 56%가 온라인 구매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자주 이용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은 품목별로 상이했다. 타오바오(淘)의 경우 품목과 관계없이 애용하는 온라인 플랫폼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긴 했으나 화장품의 경우 텐마오(天猫), 생활용품과 식품의 경우 이하오덴(1店)을 타오바오보다 더 선호했다. 오프라인 플랫폼으로는 화장품은 전문 매장, 생활용품과 식품은 마트, 유아용품은 백화점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유아용품의 경우 오프라인 매장 선호도(44%)가 타 품목들에 비해 높은데 특히 백화점 등 비교적 고가 매장에서의 구매를 선호한다”면서 “이는 중국인들이 자녀의 기호와 품질을 바탕으로 구매를 결정하는데다 자녀들에게는 아낌없이 소비하는 것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인들이 한국산 화장품, 식품, 생활용품 등을 구매할 때에는 주로 ‘본인의 사용 경험’을 토대로 재구매하는 경우가 26~28%로 가장 많았으나 화장품은 ‘타인의 구매후기’(24%)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용품의 경우 ‘타인의 구매후기’(25%)가 ‘본인의 사용 경험’(23%) 보다 구매 결정에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