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3분기 한국인이 가장 많이 다운로드 받은 앱… 질병관리청 ‘COOV’와 ‘당근마켓’

2021년 3분기 한국 상위 모바일 앱

한국이 하루 평균 모바일 앱 사용시간 5시간을 기록하며 전 세계 3위를 기록했다. 3분기 가장 많이 다운로드 받은 앱은 질병관리청의 ‘COOV’와 당근마켓이었다.

앱애니에 따르면 올 3분기 전 세계에서 360억 회의 다운로드와 340억 달러(약 40조 원)의 소비자 지출이 발생했다. 다운로드 횟수와 소비자 지출액은 지난해 동분기 대비 각각 10% 및 20%가 증가한 수치다.

한국이 하루 평균 모바일 앱 사용시간 5시간을 넘긴 것은 이번 3분기가 처음으로, 지난 분기(4.8시간) 대비 약 4.2%가 증가한 수치다. 한국보다 모바일 앱 사용시간이 많은 나라는 인도네시아(5.5시간), 브라질(5.4시간)로 분석됐으며, 한국 다음으로는 인도(4.8시간), 멕시코(4.8시간), 일본(4.8시간) 순으로 모바일 앱 사용시간이 길었다.

모바일 앱 사용시간의 빠른 증가세는 전 세계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지난 2분기에는 하루 평균 4시간을 넘는 국가가 8개에 그쳤지만 3분기에는 무려 50%가 늘어난 12개국이 평균 사용시간 4시간을 넘겼다.

모바일 앱 사용시간의 증가는 코로나 19의 대유행으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졌고, 모바일 앱을 통해서 생활의 많은 부분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즉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아 모바일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이 정착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 내 다운로드 순위와 소비자 지출 순위에서도 확연하게 드러난다.

이번 3분기 한국에서 가장 많은 다운로드를 기록한 앱은 질병관리청의 ‘COOV’로, 위드 코로나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확인시켜줬다. 다운로드 2위는 ‘당근마켓’이 차지했는데, 이는 재택근무 등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 인근에서 거래하는 사용자들의 니즈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3위는 ‘틱톡’이 차지했는데, 이 역시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형식의 비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원하는 사용자들의 니즈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뒤이어 ‘쿠팡 이츠’, ‘The건강보험’, ‘줌 클라우드 미팅’, ‘넷플릭스’, ‘배달의민족’, ‘쿠팡 플레이’ 및 ‘오늘의집’ 등이 탑 10에 오르면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모바일 중심의 라이프스타일이 안착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소비자 지출 부문에서도 동영상, 만화 등 각종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앱들이 대거 상위권에 오르면서 모바일 앱이 콘텐츠 소비의 핵심 플랫폼이자 TV를 넘어서는 제 1 미디어로 완전히 자리매김 했음을 보여줬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당근, 2년 연속 흑자…2024년 매출 1891억 원, 영업이익 376억 원

스타트업

당근마켓, 공공기관 소통창구로 부상

트렌드

불황 속 중고·저가 앱 인기 급상승…불황형 소비 트렌드 심화

스타트업

“Are you Karrot?” 캐나다에서 꽃피운 한국식 이웃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