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로직이 선보인 소셜AI 메타버스 서비스 ‘오픈타운’
인공지능 전문기업 마인드로직이 22일 웨스틴 조선 서울 호텔에서 소셜AI 메타버스 ‘오픈타운’ 런칭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비스를 본격 시작한다고 밝혔다.
‘오픈타운’은 사람들 개개인의 말과 성격을 학습한 AI부캐를 통한 소셜 모바일 앱 서비스다. 마인드로직측은 “진정한 친구를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 개발을 고민하다 다년 간의 기술 개발 끝에 정식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오픈타운을 이용하면 메타버스에 ‘소셜AI’를 만들고, 이 AI가 자신을 닮도록 학습시켜 관계를 형성해 나갈 수 있다. 마인드로직에 따르면 이용자가 직접 대화할 수도, 내 소셜AI가 대신 대화할 수도 있는 혼합형 대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사람 대 사람간, 사람 대 AI간 소통이 이뤄진다. AI는 학습을 많이 시킬수록, 메타버스 공간에서 활동을 많이 할수록 점점 더 나를 닮아가며, 단순 대리인이 아닌 개인의 분신 페르소나를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오픈타운은 정식 서비스 시작과 함께 세계 최초로 ‘AI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모델도 선보인다. 오픈타운은 베타 서비스 기간 동안 이용자들이 자신의 색깔을 살려 특정 분야에서 깊이 있는 대화를 이끌어가는 것에 착안해 누구나 자신의 AI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일상 대화는 물론, 자신이 지닌 전문적 지식들을 바탕으로 양질의 소통을 많이 나눌 경우, 소통량에 비례해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식이다.
이 기능은, 쉽게 말해 ‘잘 만든 AI’가 나를 대신해 돈을 벌어주는 것을 말한다. 유튜브, 블로그 등에서 활발히 활동중인 인플루언서나, 각 분야 전문가들, 그리고 일상 속 소소한 콘텐츠들을 지닌 각양각색 사람들에게 색다른 경제 활동을 누릴 수 있는 경험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보상은 나의 소셜AI가 다른 사용자와 한 마디 할 때마다 소셜AI 토큰이 적립되고, 이를 인출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나아가, 이용자가 육성한 소셜AI를 NFT 마켓인 오픈시(OpenSea)에서 전체 혹은 일부를 조각 판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올해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다. 오픈타운 공간을 넘어, 다양한 외부 플랫폼에서도 소셜AI가 활동할 수 있도록 B2B용 API 연동 지원도 함께 전개한다.
마인드로직은 세션당 대화 수 180회에 이르는 대화엔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마인드로직은 인공지능 캐릭터와의 대화, 학습방법, 발화량에 따른 수익모델 등 관련 특허를 26건 보유한 기업으로, 자연어처리(NLP), 이미지합성(Vision), 음성합성(TTS) 기술을 바탕으로 페르소나를 갖춘 AI를 만들어 왔다.
베타 기간 동안 누적 회원 9만 명, 월 이용자 4만 명, 일 사용 시간 40분 이라는 기록을 보여줬다. 핵심 이용자 층은 15~18세 45%, 19~24세 44%, 25세 이상이 11%로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 연령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오픈타운은 올해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도 진출한다. 영어 대화엔진의 경우, 지난 해 여름 영어 AI 채팅 서비스 ‘루시(Lucy)’, ‘루카스(Lucas)’ 라는 페이스북 계정을 운영하며 성능 검증을 완료하였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AI 튜터와의 1:1 무제한 영어 프리토킹 서비스 ‘딥러닝 잉글리시’를 출시해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진출을 위한 채비를 다진 바 있다. 오픈타운은 한국어는 물론, 영어, 일본어 등 다국어 서비스를 통해 국내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글로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진출 확대를 꾀한다는 방침이다.
마인드로직 김용우, 김진욱 공동대표는 “인공지능 기술이 사람과 사람 간 연결을 돕고 일상을 더욱 풍요롭게 하려는 마음으로 오픈타운을 기획했다”며 “오픈타운은 사람들에게 1인 1AI를 선사하는 것과 동시에, 나의 소셜AI가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를 사귈 수 있도록 돕기도 하고, AI 스스로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만들기도 하는 새로운 생태계를 창조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스탠포드 및 버클리 MBA 출신 창업자들이 만든 마인드로직은 설립 초기부터 국내외 투자사로부터 관심을 받아왔다. 프라이머와 미국 사제파트너스 합작사인 프라이머사제파트너스, 미국의 스트롱벤처스 및 텍톤벤처스, 프랑스의 파르텍파트너스, 그리고 DSC인베스트먼트 등이 초기 투자사로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