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케어닥, 상반기 ‘전년 比 매출 3배↑’

시니어 돌봄 플랫폼 케어닥의 올해 1~5월 매출이 전년 대비 3배 이상 성장했다.

누적 거래액도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누적 거래액의 경우 올 초에 이미 500억을 넘겨 회사는 목표로 하는 1,200억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업별 성과도 고무적이다. 특히 올해로 서비스 3년 차에 접어든 방문요양은 방문요양돌봄센터 설립에 힘입어 작년과 비교해 566%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3월 1호점을 오픈한 방문요양돌봄센터는 요양 등급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돌봄을 제공한다는 강점을 내세우며 빠르게 지역 거점을 넓혀 나가고 있다.

병원 간병 서비스도 작년보다 152% 높은 매출을 끌어올렸다. 코로나19로 주춤한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영업을 함으로써 제휴 병원 수를 2배 이상 늘린 점이 주효했다. 병원 간병 서비스는 케어닥 상반기 전체 매출의 반 이상을 책임지는 주요 사업이다.

케어닥 이용자 변화도 돋보인다. 지난해 상반기와 달리 올해 케어코디(요양보호사, 간병인) 가입자 수는 270%가 늘었고, 케어닥이 케어하는 어르신의 수 역시 1.9배가 치솟았다. 케어코디와 보호자가 비슷한 비율로 증가하며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졌다는 점도 성장 요인이다.

케어닥은 상반기 사세 확장에 집중했다면 하반기에는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고객 유입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춘다.

케어닥 박재병 대표는 “현재 진행 중인 시리즈 B 라운드 투자 유치가 마무리되면 사업 고도화 및 안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라며 “시니어 돌봄 산업을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어르신들이 편하게 돌봄을 향유하며, 존재의 가치와 존엄을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돌봄 산업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개선해 초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는 25년까지 성숙한 시장을 만들어 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케어닥은 최근 KB헬스케어, 현대해상 등 주요 기업들과 맞손을 잡으며 사업 영역을 꾸준하게 넓혀 나가고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간병 예약’도 이젠 카톡으로 한다

스타트업

케어닥, 올해 시니어 산업 6대 키워드는 “G.R.A.N.D.S”

이벤트

시니어 주거시설 규제 완화 필요성 대두…국회 정책토론회서 민간 참여 확대와 제도 개선 방안 논의

투자

케어닥, 인베스코에서 투자 유치…시니어 하우징 전문운영사 공동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