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스타트업

[김영인의 Daily up] 6. 제안서는 누구를 위해 보내는가?

tyhjä sivu

카페 관리를 하다보면, 특판성 공지 외에도 카드사/복지몰 메인에 올릴 제품을 찾는다는 글도 많이 올라온다. 공지를 올린 업체에서는 관련 제품을 찾아서 많이 판매하고 싶은 마음에서 올리는 것이고, 제안서를 보내는 업체에서는 제안서가 채택되면 적지 않은 판매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제법 성사율도 높다. 제안서 메일 하나를 잘 보내면, 수 백만 원 혹은 수 천만 원의 매출을 단시간 내에 얻을 수 있으니 이 얼마나 매력적인 기회인가?

결국 ‘잘 만든 제안서’ 하나가 수백 혹은 수 천만 원의 매출을 올릴 수도 있다는 것인데, 아직도 제안서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제안서의 형식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곳에 무차별적으로 보내면 선택확률이 높아진다고 생각하거나, 월급을 주는 대표에게 ‘이렇게 많이 제안서를 보냈습니다’라는 식의 보여주기식 제안서는 의미가 없다.

제안서를 보내어 선택될 확률이 높거나, (지금 안 되더라도) 다음 기회를 노릴 수 있는 제안서 보내기 요령, 간단하게 설명해보겠다.

1. 제안서를 보낼 때는, 메일 제목에 회사명/이름/제품성격이나 제품명을 꼭 적어야 한다. (예를 들어, 데일리업 김영인 : 골프용품, ** 제안서)

무수히 많은 제안서가 들어오는데, 말머리도 없이, <제안서>라는 이름으로 와서 남들과 차별화가 안 된다면, 지금 당장 채택되지 않으면, 평생 채택되지 않을 것이다. 상황에 따라 지금 채택되지 않더라도, 제안서를 받는 입장에서 메일함을 검색할 수 있는 키워드를 메일 제목에 넣어두면, 한 달 뒤에라도 그 제품군이 필요할 때 연락이 올 수 있다.

2. 제안서를 첨부할 때는, 첨부 파일에도 1번과 같은 규칙으로 파일명을 만들어야 한다. 

실제로는 더 나아가 제안하는 날짜와 제안자의 전화번호를 파일명에 넣어주는 것이 좋다(예를 들어, (데일리업) 골프용품, ** 제안서_제안날짜(011-***-****).

제안받는 입장에서 제안파일을 열면, <temp>나 <메일함>등의 특정 디렉토리에 파일이 다운되는데, 그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은 수 백개 혹은 수 천개가 될 수도 있다(지금 내 디렉토리를 있는 파일이 1,418개이다). 

엊그제, 어떤 업체에서 10분만에 특정 제품에 대한 제안서를 보내달라고 했을 때, 가능했던 이유는, 특정 단어로 검색해서, 가장 어울릴만한 특판 제안서에서 일부를 수정했기 때문에 가능했었다.

흔히, <데일리업>이란 회사에 제안서를 보내기 때문에 파일명을 <데일리업>이라고 보내는 분이 적지 않다. 그 회사 입장에서는 처음으로 보내는 제안서이니 파일명을 <데일리업>이라고 한 것은 이해하지만, 내가 받은 1418개의 파일명이 모두 <데일리업>이라고 한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따라서 보내는 업체명과 제품명, 보내는 날짜까지 포함되어 있다면, 제안서 파일만 가지고도 보름 전 견적이다, 한달 전 견적이다고 알 수 있게 된다.

한 달 뒤 갑자기 그 제품이 필요해서 제안업체에 전화하려고 할 때 그 파일명에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MS-DOS나 윈도우 95까지는 파일명 길이에 제한이 있었지만, 윈도 XP 이후에는 파일명 길이제한이 없다. 파일명 하나에도 신경을 쓰면 <자다가 떡을 먹을 수도 있다>.

3. 제안서는 정말 자신있는 한두 가지로 제한해서 보내는 것이 효율적이다.

가격이 깨져있는 제품, 한두 단계 거쳐서 가격 경쟁력이 없는 제품의 제안서는 아무리 많이 보내더라도 보내는 사람도 고생이고, 받는 사람도 최저가 검색하다가 지치게 된다. 경쟁력 없는 제안서 10개를 보내는 것보다, 경쟁력 있는 제안서 1개가 더 효율적이다.

10개의 제안서를 보냈는데, 그 중 몇 개의 가격이 깨져 있거나 몇 단계 거친 견적일 경우 경쟁력이 없다. 문제는 여러 제안서 중 가격이 깨진 제안서는 금방 확인이 되는 것이고, (네이버/다나와에서 가격검색) 그러면 나머지 제안서가 깨졌는지, 다 확인해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즉, 이런 제안서는 보낸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시간 낭비만 한 결과를 얻게 된다. 실제 경쟁력 있는 한두 가지 제품으로 거래가 이뤄지게 되면, 카톡이나 네이트온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언제던지 추가 제안/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 식으로 거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4. 특판을 고려한 제안서를 보낼 경우, 상세한 사양을 기록해서 보내야 한다.

제안을 받은 사람이 상황에 따라 다른 거래처에 그 제품 제안서를 보낼 수도 있는데, 그 경우 받은 파일에서 제안자 이름과 공급가격만 수정해서 보낼 수 있는 제안서를 보내주는 것이 한 번 보낸 제안서의 확대 재생산이 가능하다는 면에서 효율적이다.

그런 점에서 보자면, 제안서는 보내는 사람의 자기 만족을 위해 보내는 것이 아니라 받는 사람이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정리할 수 있고, 검색할 수 있고, 다른 곳에도 제안할 수 있는 제안서야 하지 않을까?

전자책 사업을 했던 경험을 기반으로 디지털 컨텐츠 유통을 하고 있다. 현재는 복지몰/폐쇄몰 벤더이자, 카드사/김기사몰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회사 블로그(http://dailyup.tistory.com)에 그동안 취급했던 제품과 제품을 취급하면서 경험했던 진솔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공공부문 제안서 전략 #2] 비즈니스적 목적에 집중 … 의사결정권자를 설득하라

트렌드

[공공부문 제안서 전략 #1] 쉽게 이해되는 논리전개 … 내용적 차별성을 확보하라

트렌드

[김영인의 Daily up 27] 메르스와 청룡열차

인사이트

[김영인의 Daily up 26]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