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연구노트 솔루션 ’구노’를 개발하는 레드윗의 김지원 대표입니다. ‘구노하우’는 많은 스타트업이 겪는 고민에 대한 해결책을 안내해드리는 칼럼입니다.
2025년 대한민국 국가연구개발(R&D) 투자 방향과 기준안은 단순히 정책을 넘어, 지원사업 참여 기관에게 중요한 기회와 전략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정책 우선순위를 미리 파악하는 것은 지원사업 준비 단계에서부터 큰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오늘은 2025 국가연구개발 투자 방향 및 기준안을 기반으로 주요 산업 투자 방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ICT·SW 분야
– 차세대 인공지능(AI) 개발: 초거대 AI 모델 및 산업 활용 가능성이 높은 AI 기술 강화
– 6G 통신 기술 연구: 6G 기술 표준화 선점 및 상용화 준비 지원
– 데이터 플랫폼 강화: 데이터 수집, 분석, 보안 기술 개발 및 데이터 경제 활성화
– 양자: 대형 양자컴퓨팅 시스템(HW) 확보 등을 위한 원천 연구와 상용 기술 개발 지원
2. 생명·보건의료 분야
– 첨단 바이오 기술: 유전자 편집,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 개발
–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 데이터 분석 기술 개발
– 감염병 대응: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 지원 확대
3. 에너지·자원 분야
– 수소 에너지 기술: 수소 생산, 저장, 활용 기술 강화
– 탄소중립 기술: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기술 투자
–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풍력, 해상풍력 등 차세대 에너지 기술 연구
4. 소재·반도체·나노 분야
– 차세대 반도체: 첨단 소자, 인공지능 반도체, 반도체 첨단 패키징, 화합물반도체 등 기술 중점 투자
– 이차전지: 고성능·친환경 전지 소재 개발
– 첨단 나노소재: 경량화, 고강도 소재 개발로 응용 가능성 확대
5. 기계·제조 분야
– 스마트 제조: AI·디지털트윈 등 융복합 ICT 원천기술의 제조현장 적용 가속화
– 로봇 산업: 인간 협업 로봇 및 자율주행 로봇 기술 강화
6. 농림수산·식품 분야
– 스마트 농업: 빅데이터·AI 등 ICT 기술을 활용한 농업 자동화
– 대체식품: 식물성·배양육과 같은 차세대 식품 기술 개발
7. 우주·항공·해양 분야
– 우주 탐사: 달 탐사를 위한 기술 개발 및 위성·발사체 설계
– 항공 기술: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 개발 및 카고드론(Cargo drone) 등 무인항공기(UAV) 사업화 지원
– 해양 기술: 친환경 해상 물류 기술 및 심해 자원 탐사 기술 개발
8. 환경·기상 분야
– 기후 변화 대응: 극한 기후 예측 및 대비 기술 강화
– 친환경 기술: 재활용 소재와 자원 효율화 기술 개발
9. 국방 분야
– 첨단 무기 체계: 로봇, 자율 무기, 우주 기반 국방 기술 개발
– 디지털 국방: 사이버 보안과 정보전 대응 기술 개발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다부처 협업이 강조되므로, 다른 연구 기관과의 협력을 적극 모색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실패 가능성이 있더라도 도전적인 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혁신적인 연구 제안서를 준비하면 좋습니다. 2025년 주요 산업별 투자 방향을 잘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맞춤형 연구 계획을 수립하기를 바랍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