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4분기 소상공인 매출 회복세…업종별 양극화는 심화

소상공인들의 매출과 수익성이 전반적으로 개선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업종별 성과 차이가 뚜렷하고,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한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국신용데이터가 발표한 ‘2024년 4분기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사업장당 4분기 매출은 4,798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 전기와 비교하면 10.77% 상승했다. 이는 소비 심리 회복과 물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이익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흐름이 확인됐다. 4분기 사업장당 이익은 1,158만원을 기록, 전년 대비 5.25% 늘었다. 전기 대비로는 9.92% 증가했다. 특히 연간 실적을 보면 더욱 뚜렷한 개선세가 드러난다. 2024년 연간 매출은 1억 7,882만원으로 전년과 유사했으나, 이익은 4,273만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했다.

업종별 희비 엇갈려

업종별로는 명암이 뚜렷하게 갈렸다. 외식업이 전기 대비 8.8%p 상승했고, 아시아 음식점도 6.3%p 증가하며 호조를 보였다. 반면 카페는 9.5%p 하락하며 부진했다.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이 7.4% 하락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전통유통업 중에서는 편의점, 과자·식품점 등이 30.1%p 증가하며 강세를 보였고, 운수 서비스업도 10.3%p 상승했다. 반면 개인서비스업은 4.8%p, 건강·의료 서비스업은 3.5%p 상승에 그쳤다.

대출·폐업 현황 ‘경고등’

개인사업자 대출 상황은 우려스러운 수준이다. 4분기 말 기준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은 715.7조원을 기록했다. 은행권이 433.2조원(60.5%), 비은행권이 282.4조원(39.5%)을 차지했는데, 특히 비은행권의 대출잔액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주목된다.

연체 현황을 살펴보면 은행권이 2.4조원, 비은행권이 8.9조원을 기록했다. 특히 저축은행(5.0%)과 상호금융(2.7%) 업권의 대출잔액 대비 연체금액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 연체율은 1.6%를 기록했다.

폐업 통계도 심각한 수준이다. 4분기 기준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 보유 사업장 362.2만개 중 48.2만개(13.3%)가 폐업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비은행권(16.0%)이 은행권(9.1%)보다 폐업률이 현저히 높았다. 업종별로는 기타 업종이 34.0%로 가장 높은 폐업률을 보였고, 상호금융이 5.4%, 여신전문이 9.0% 등을 기록했다.

서울 2호선 상권 분석 결과도 ‘주목’

이번 리포트에서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상권에 대한 특별 분석도 진행됐다. 카페·베이커리 업종의 단위 면적당 매출을 분석한 결과, 홍대입구-을지로입구-역삼-강남 순으로 상권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합운동장역과 신대방역, 대림역 주변 상권의 활성화 정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해당 지역의 유동인구 증가와 상권 개발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1주차, 소상공인 매출 증가 효과 나타나

스타트업

댓글몽, 출시 16개월 만에 소상공인 1만 고객사 돌파

스타트업

한국신용데이터, 캐시노트 AI 비서 ‘캐시니’ 출시

Uncategorized

소상공인 과반 “지역화폐 경기 진작 효과 매우 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