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덜 마시고 덜 놀고’ 소비 위축에 소상공인 매출 부진 지속

한국신용데이터(KCD)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소비 위축이 장기화되면서 소상공인들의 매출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전국 소상공인의 평균 매출은 4507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7.9%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0.8%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 증가는 겨울에서 봄·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면서 소비 활동이 확대된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매장당 평균 이익은 1179만원으로 전년 대비 7.3%, 전분기 대비 14.9% 늘었다. 이는 소상공인들이 지출을 줄인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외식업과 서비스업에서 소비 둔화가 두드러졌다. 술집의 매출은 전년 대비 9.2% 감소했고, 노래방·PC방·스포츠시설 등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업종도 8.3%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고물가와 경기 불확실성에 더해 해외여행 수요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실제로 전년 동기 대비 해외 출국인원은 2.6% 증가해 국내 지출이 분산되는 효과를 낳았다.

금융 현황을 보면, 2분기 국내 총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은 723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업권이 432조8000억원(59.8%)을 차지했고, 비은행업권이 29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비은행업권 중에서는 상호금융업권의 대출 비중이 높았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 금액은 13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6% 증가했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업권에서 대출잔액 대비 연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반면, 은행권에서는 대출잔액 대비 연체 금액 비중이 소폭 감소했다.

강예원 한국신용데이터 데이터 총괄은 “이번 2분기 외식 및 여가 분야 소비 위축은 단순한 매출 감소를 넘어 소비자들의 생활 방식과 지출 우선순위가 바뀌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그는 “해외여행 수요 증가도 국내 소비 여력을 줄여 소상공인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다만 강 총괄은 “3분기에는 새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효과가 반영돼 일부 업종에서 회복 조짐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1주차, 소상공인 매출 증가 효과 나타나

스타트업

한국신용데이터, 캐시노트 AI 비서 ‘캐시니’ 출시

Uncategorized

소상공인 과반 “지역화폐 경기 진작 효과 매우 클 것”

스타트업

한국신용데이터, ‘예비 사장님 서비스’ 출시로 창업 진입장벽 낮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