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신용데이터(KCD)가 발표한 ‘2025년 2분기 소상공인 동향 리포트’에 따르면, 소비 위축이 장기화되면서 소상공인들의 매출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전국 소상공인의 평균 매출은 4507만원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7.9%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0.8%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 증가는 겨울에서 봄·여름으로 계절이 바뀌면서 소비 활동이 확대된 계절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매장당 평균 이익은 1179만원으로 전년 대비 7.3%, 전분기 대비 14.9% 늘었다. 이는 소상공인들이 지출을 줄인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외식업과 서비스업에서 소비 둔화가 두드러졌다. 술집의 매출은 전년 대비 9.2% 감소했고, 노래방·PC방·스포츠시설 등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업종도 8.3% 줄었다.
이 같은 현상은 고물가와 경기 불확실성에 더해 해외여행 수요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실제로 전년 동기 대비 해외 출국인원은 2.6% 증가해 국내 지출이 분산되는 효과를 낳았다.
금융 현황을 보면, 2분기 국내 총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은 723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업권이 432조8000억원(59.8%)을 차지했고, 비은행업권이 29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비은행업권 중에서는 상호금융업권의 대출 비중이 높았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 금액은 13조4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6% 증가했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업권에서 대출잔액 대비 연체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반면, 은행권에서는 대출잔액 대비 연체 금액 비중이 소폭 감소했다.
강예원 한국신용데이터 데이터 총괄은 “이번 2분기 외식 및 여가 분야 소비 위축은 단순한 매출 감소를 넘어 소비자들의 생활 방식과 지출 우선순위가 바뀌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그는 “해외여행 수요 증가도 국내 소비 여력을 줄여 소상공인 매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다만 강 총괄은 “3분기에는 새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 효과가 반영돼 일부 업종에서 회복 조짐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