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클라우드가 23일 서울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개최한 테크밋업 현장에서 하이퍼클로바X의 오픈소스 공개를 선언할 때, 이것이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에 가져올 파급효과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HyperCLOVA X SEED 3B, 1.5B, 그리고 0.5B—이 24일부터 상업용 무료 오픈소스로 공개된다. 이 모델들은 기업과 연구기관에서 자유롭게 다운로드하여 비즈니스와 학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기존 국내 AI 모델들이 주로 연구용으로만 제한되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상업적 목적으로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날 소개된 HyperCLOVA X SEED 3B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 모델은 텍스트뿐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모델로, 도표 이해, 개체 인식, 사진 묘사 등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한국어·한국문화와 영어 관련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9개 벤치마크에서, 이 모델은 유사 규모의 해외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심지어 파라미터 수가 훨씬 많은 대규모 해외 모델과도 비슷한 정답률을 보였다.
이날 현장에서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 전략이 가속화되면서 네이버 서비스에 안정적, 비용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고, 최근 가장 니즈가 많은 모델이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기업들이 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고 배경을 덧붙였다.
테크밋업에서는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reasoning) 모델도 소개되었다. 이 추론 모델은 상반기 중에 선보일 예정이며, 수학과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넘어, 시각 및 음성 정보 이해, 자동 웹 검색, API 호출, 데이터 분석 등의 능력을 통합할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추론 모델에 ‘제주도 서귀포 쪽에 아이들하고 갈 만한 관광지 어디 있을까? 후기 좋은 숙소도 예약해줘’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모델이 스스로 추론을 통해 답변 계획을 세우고 검색 API, 숙소 예약 API를 호출해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것이다.
테크밋업에서는 또한 하이퍼클로바X의 멀티 모달리티를 음성까지 확장한 음성 모델 계획도 공개되었다. 이 모델은 감정이 담긴 음성 합성, 음성 스타일 분석, 자연스러운 양방향 대화 등이 가능하다고 한다.
현장에서 김 대표는 소버린 AI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소버린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며,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이 과정에서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 밀착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탄탄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 테크밋업에서 네이버는 이미지, 영상, 음성으로 확장한 멀티모달 모델, 저비용 경량 모델, 강력한 추론 모델을 중심으로 하이퍼클로바X를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견인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김 대표는 “AI 저변 확대를 위한 이러한 노력들이 국내 소버린 AI 생태계의 체력을 더욱 단단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마무리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