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 특화 AI 기업, 1,200명 참가한 대규모 컨퍼런스서 도메인 최적화 AI 중요성 강조
“범용 AI 한계 넘어선 산업별 맞춤 AI 에이전트가 초생산성 시대 열 것”
산업 특화 AI 솔루션 기업 마키나락스가 4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AI 컨퍼런스 ‘ATTENTION 2025’를 개최했다.
올해로 2회를 맞은 이번 컨퍼런스에는 LG,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리얼월드, 한국수자원공사,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오토에버, 육군사관학교, 엔비디아 등 국내외 주요 기술·산업 리더들이 연사로 참여했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100X 혁신: 산업 AI가 여는 초생산성의 시대’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GPT 등 범용 AI는 대화나 텍스트 생성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센서 데이터 해석이나 도면 판독처럼 정밀도가 필요한 산업의 과업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장의 맥락과 전문성을 반영한 도메인 특화 인공지능 기술이 산업 AI 혁신의 핵심”이라며 “제조, 국방, 중공업 등은 AI를 통해 100배 생산성 향상의 잠재력을 가진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표는 “이제는 대기업은 물론 중소·중견 기업도 수백, 수천개의 AI 에이전트를 직접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에이전틱 AI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원장은 ‘에이전틱 AI로 진화하는 AI 산업 생태계’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AI는 단일 모델의 성능 경쟁을 넘어, 다양한 에이전트들이 협력해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 원장은 “산업 생태계 구축은 AI의 무한한 잠재력을 현실로 전환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후 음병찬 디스펙터 대표가 좌장을 맡은 패널토론에서는 정영범 퓨리오사AI 상무, 이활석 업스테이지 CTO, 허영신 마키나락스 CBO, 이강욱 리얼월드 CBO가 참여해 AI 주권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패널들은 “한국은 파운데이션 모델 경쟁을 넘어 산업 현장과 생태계 차원에서 AI 주권을 확보해야 한다”며 AI와 함께 만들어갈 미래 사회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오후 세션에서는 ‘산업 AI 실전 사례(AI in Action)’ 발표가 진행됐다. 한국수자원공사의 AI 기반 수자원 예측·분석 시스템, 두산에너빌리티의 도면 검토 스마트화, 현대오토에버의 제조 현장 AI 에이전트 활용, 육군사관학교의 AI 기반 화력계획추천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AI 적용 사례가 공유됐다.
LG전자 생산기술원의 스마트팩토리 혁신 사례와 엔비디아의 피지컬 AI 기술도 소개되며 참가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행사장에서는 마키나락스의 대표 제품 ‘런웨이(MakinaRocks Runway)’의 신기능 ‘앱 스튜디오(App Studio)’가 공개됐다. 앱 스튜디오는 데이터와 모델을 연결해 누구나 직관적인 UI로 AI 앱을 제작·실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아이디어에서 현장 적용까지의 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스마트 도면 에이전트, 스마트 공장 사업관리 챗봇(제조 AI 24), 지휘통제 상황관리 에이전트 등 다양한 버티컬 AI 에이전트 데모도 선보여 참가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윤종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조AI연구센터장과 김한성 국방전산정보원장은 축사를 통해 산업 AI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마키나락스의 기술 혁신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윤성호 대표는 행사를 마무리하며 “올해 컨퍼런스는 더욱 다양한 산업의 고객과 파트너와 함께 버티컬 AI로 열어갈 미래를 확인한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마키나락스는 산업 현장의 설비·기계·로봇까지 아우르는 확장성 있는 기술력으로 인공지능이 초생산성을 이끄는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를 앞당겨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