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빠르게 빠르게 그리고 더 넓게’ 中 국무원, 국가 정보화 계획 발표

1

27일 중국 국무원은 ‘13차 5개년 계획(2016~2020년) 국가  정보화 계획(이하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2020년까지 중국 각 지역과 각 부문의 정보화 행동 지침으로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중대도시 지역의 고정 광대역 최고 속도 1000Mbps 로 향상시킨다.
  2. 98%의 행정촌에 광섬유를 보급하고, 전송 속도 100mbps 이상으로 향상시킨다.  50% 이상의 농촌 지역 가정에 최대 50Mbps의 속도가 나오도록 한다.
  3. 도시와 농촌 지역에 4G 망을 보급해 속도를 높이고 비용은 절감한다.
  4. 5G 기술의 연구 개발과 표준화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고 상용화 한다. 2018년까지 5G망 기술 연구와 테스트 작업을 완료한다.
  5. 서부 농촌 지역 가정의 광대역 보급율 40%를 목표로 하고, 도시 지역 가정에는 전송 속도 50Mbps가 나오게 한다. 조건이 충족되는 곳은 100Mbps까지를 목표로 한다.

중국 정부는 12차 5개년 계획 기간(2011~2015년)에 정보화 전담 부서를 만들고 통일된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인터넷 강국 전략, 빅데이터 전략, ‘인터넷+(플러스)’ 등 일련의 중대 정책을 실시해 정보화 발전의 기틀을 마련해 왔다. 이번 13차 5개년 계획은 이를 심화시키는 단계라 할 수 있다.

CNNIC (중국인터넷정보센터, 中国互联网络信息中心)가 올해 상반기 중국 인터넷 사용 현황을 정리하여 발표한 <제38차 중국 인터넷 발전상황 통계보고서(地38次中国互联网发展状况统计报告)>를 보면, 인터넷 사용자는 7억1000만 명, 인터넷 보급률은 51.7%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G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는 중국 전역에 보급되었고, 4G 보급은 한창 진행 중이다. 중국은 2013년부터 ‘광대역 중국(宽带中国)’ 전략을 실시하면서 현재 50% 이상의 가정에 광대역이 보급되었다.

한편 리커창 총리가 제시한 ‘인터넷 플러스(互联网+)’는 인터넷을 전(全) 산업과 융합해 새로운 경제발전 생태계를 창조하는 경제 전략으로 인터넷 보급 뿐만 아니라 중국 전 산업의 새로운 발전 모델로 인식되어 왔다.

중화권 전문기자 / 이주현 기자는 대중국 비즈니스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 IT 스타트업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