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한국은 스타트업하기 좋은 나라일까?” 직장인에게 물어보니

중소벤처기업부의 2020년 예산이 13조 4000억으로 확정되며 해가 갈수록 스타트업 관련 예산은 늘어가는 상황에서, 한국 직장인들의 인식은 어떨까.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가 직장인 2,2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74.5%가 한국이 스타트업하기 좋은 나라가 아니라고 부정적(아니다 30.2%, 매우 아니다 44.2%)으로 응답했다.

한국에서 스타트업 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정부의 정책적 규제(35.9%)와 기존 산업과 충돌 (24.0%) 이 1,2위로 꼽혔다. 이는 승합차 공유 서비스 ‘타다’ 사례 등 정부 규제와 기존 산업과의 충돌로 신산업들이 난항을 겪음에 따른 영향으로 보여 진다.

이어지는 응답은 투자금 부족(22.2%), 고급 인력 부족(12.0%), 기타(6.0%) 순이다. 기타 의견으로는 ‘대기업의 시장 장악’, ‘사업실패 후 회생의 어려움’ 등이 꼽혔다.

한편 한국에서 스타트업 하기 좋은 이유로는 인터넷 인프라(37.4%), 정부지원(21.0%), 기타(19.8%), 높은 인구밀도(13.1%), 자유로운 고용시장(8.6%) 순으로 응답했다. 기타 의견에는 ‘좋은 점이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렇다면 한국이 더욱 ‘스타트업 하기 좋은 나라’가 되기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은 무엇일까. 한국 직장인 24.4%가 ‘정부 정책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지는 응답은 정부, 기업의 자금 투자(24.4%), 기업의 적극적 M&A(14.9%), 교육개선(인재육성)(12.5%), 스타트업의 글로벌 지향(11.5%) 순이었다.

‘스타트업 취, 창업을 추천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 직장인들은 평균 2.29점(5점 척도 환산)을 매겼다. 반대한다(29.11%), 보통이다(29.03%), 매우 반대한다(28.78%), 추천한다(9.70%), 매우 추천한다(3.39%) 순이었다.

플래텀 중국 연구소 소장 / 불편부당(不偏不黨)한 시선으로 중국 현황을 관찰하고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 가입자 1,200만 명 돌파

스타트업

블라인드, 美 타임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대 기업’ 선정

Uncategorized

韓 직장인 2명 중 1명 지난해 이직 시도… “인재 이탈 막으려면 표현의 자유 보장해야”

스타트업

블라인드, 가입자 수 800만… “삼성·SK·현대차 10명 중 8명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