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로나19 여파로 대부분 기업 매출 줄었지만, 증가한 기업도 있다

직장인 앱 블라인드가 지난 3월 4일부터 8일까지 한국 직장인 23,75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재직 기업의 매출 감소를 실감하고 있으며, 특히 항공·여행 업계 재직자의 경우 그 비율이 100%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코로나19 사태가 재직 중인 회사의 매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습니까?’라는 질문에 가장 많은 응답은 ‘매출이 급감했다(38%)’였다. ‘매출이 감소했다(20%)’는 응답을 합치면 60%에 달한다.

업계를 불문하고 매출 타격이 극심한 가운데 매출이 급증한 회사들이 눈에 띈다. 매출이 증가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회사는 다름아닌 쿠팡으로, 재직자 95%가 매출이 급증 · 증가했다고 답했다.

쿠팡 다음으로 ‘매출이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던 회사는 CJ제일제당(81%), CJ대한통운(74%), 홈플러스(67%), NCSOFT(59%), 위메프(57%), NEXON(57%) 순으로, 온라인 기반 유통 · 게임 업체가 대부분이다.

홈플러스의 한 재직자는 ‘지금 매출이 명절 수준이다. 경쟁사인 이마트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대해본다’고 글을 남기기도 했다.

한편 매출 타격을 가장 절감하는 곳은 역시 항공업계였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매출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업계 재직자의 98%를 넘어섰다.

특히 국내 최대 항공사인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재직자의 100%가 ‘매출이 급감했다’고 답했다. 아시아나항공의 한 재직자는 ‘선배들끼리 IMF급이라고 말한다’고 댓글을 남겼으며, 대한항공의 한 재직자는 ‘승객 없어 텅 빈 비행기 세워두느니 화물이라도 실어서 날라야 하는 것 아니냐고 농담한다’고 말했다.

항공업계 외에 ‘매출이 감소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던 업계는 여행(98%), 외식(87%), 철도(87%), 병원(86%), 영화(79%) 등으로 오프라인에 기반한 B2C 사업체일 수록 그 타격이 컸다.

그렇다면 산업 일선에서 근무하는 직장인들이 가장 시급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무엇일까.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가장 시급한 조치는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란 질문에는 직장인들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회사에 대한 정부의 자금 지원(23%)이라는 답변이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임직원의 단합된 노력(21%), 육아 공백을 메우기 위한 보육 대책 마련(20%), 회사의 부당 행위에 대한 단속 강화(18%) 순이었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트렌드

쿠팡, 3월 온라인 쇼핑 카드결제 3조원 돌파… 전월 대비 8% 성장

트렌드

쿠팡, 최대 1000억원 투자해 AI 기반 충북 제천첨단물류센터 착공

스타트업

직장인 소셜 플랫폼 ‘블라인드’, 가입자 1,200만 명 돌파

트렌드

‘화면 속 한국인의 일상’ 2025년 2월 디지털 플랫폼 이용 트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