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스타트업트렌드

마이크로소프트, 팀즈 화상회의 3월에만 1000% 증가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원격근무 트렌드 리포트(Remote work trend report)에 따르면, 협업 플랫폼 팀즈를 활용한 화상 커뮤니케이션은 3월에만 1000% 이상 증가했다.

3월 31일 하루에만 팀즈 비디오 콘퍼런스 사용 시간은 최대치인 27억 분으로, 3월 16일 9억 분에 비하면 보름 만에 3배 늘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화상회의가 활발해진 이유 중 하나로 대면 업무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얼굴을 보며 소통할 수 있는 화상회의의 장점을 꼽았다. 뇌 과학자들에 의하면 아이 콘택트가 도파민, 코티졸 등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줘 안정감을 주는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재택근무 간 화상회의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화상 커뮤니케이션 국가별 추이를 보면, 팀즈 미팅 시 비디오 기능을 활용하는 비중은 노르웨이와 네덜란드가 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호주, 이탈리아, 칠레, 스위스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랑스, 일본 등은 30%대의 비중을 보였다. 일부 국가에서는 상대적으로 인터넷 불안정과 낮은 디바이스 접근성으로 비교적 비디오 콘퍼런스에 사용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팀즈 사용량도 눈에 띄게 늘었다. 2월 초부터 3월 31일까지 모바일 사용자가 300%가량 증가했는데, 이는 특히 글로벌 교육현장과 정부와 관련한 산업군에서의 사용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팀즈 모바일은 현재 전 세계 175개국에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것이 단지 새로운 사용자 수가 증가한것 뿐 아니라, 매주 팀즈를 사용하는 시간 또한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이는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의 유럽지역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팀즈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이 크게 증가했다. 3월 한 달간 팀즈를 로그인해서 로그아웃 하기까지의 평균 시간이 1시간 이상 길어졌는데,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결과를 통해 업무 환경이 과거에 비해 더 유연해졌다고 분석했다. 즉, 하루 평균 노동 시간이 확장된 것이 아니라 업무 외적인 일과 밸런스를 맞추며 개인별 최적의 시간대를 찾아 생산성을 향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팀즈에 새로운 기능도 추가했다. ‘회의 종료(end meeting)’ 기능으로 이제 모임 주최자가 클릭 한 번으로 회의를 끝낼 수 있게 됐으며, ‘출석 체크(participant report)’ 기능은 미팅의 주최자가 미팅 참가자의 접속 및 퇴장 시간을 다운로드해 확인할 수 있게 있다. AI 기반의 ‘맞춤 배경 기능(custom background)’은 기존의 배경 블러 처리에서 업그레이드되어 백그라운드를 밝고 깔끔한 홈 오피스로 전환할 수 있다. 향후에는 개인이 커스터마이징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업로드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할 예정이다. 또 올해까지 키보드나 개가 짖는 소리 등 미팅 간 산만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시간 소음 억제 기능(real-time noise suppression)’ 도입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리포트는 개인과 조직의 데이터는 보호하면서 회의, 이메일, 채팅 등 수조개의 시그널을 분석해 업무의 패턴과 동향을 파악했다. 여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365 기반의 마이크로소프트 그래프(Graph) 기능이 사용, AI 기반으로 전세계의 오피스 업무 습관, 상호관계 등을 분석해 생산성 패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2020년 3월 팀즈 사용량 추이]

• 3월 간 비디오 커뮤니케이션(화상회의) 1000% 이상 증가

• 3월 31일 하루 비디오 콘퍼런스 시간 27억분(4,500시간) 기록

• 3월 일간 평균 팀즈 사용 시간 1시간 이상 증가

• 3월간 주간 스트림 영상 수 5배 증가, 분당 수백시간 분량의 영상 업로드 (스트림(Stream): 팀즈에서 실시간 이벤트와 미팅 녹화 등 제공하는 서비스)

• 2월 초부터 3월 31일까지 주간 모바일 팀즈 사용자 300% 증가

• 현재 전 세계 175개국, 18만3,000개의 학교와 학군에서 팀즈를 교육용으로 사용

• 국가별 팀즈 화상회의 사용 비중 : 노르웨이, 네덜란드 60%, 호주 57%, 이탈리아 53%, 칠레 52%, 스위스 51%, 스페인 49%, 영국, 캐나다, 스웨덴 47%, 멕시코 41%, 미국 38%, 일본 39%, 프랑스 37%, 남아프리카 공화국 36%, 싱가포르 26%, 인도 22%

기자 / 제 눈에 스타트업 관계자들은 연예인입니다. 그들의 오늘을 기록합니다. 가끔 해외 취재도 가고 서비스 리뷰도 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매스프레소, 신규 실시간 강의 플랫폼 ‘콴다 클래스’오픈

스타트업 트렌드

‘코로나19 시대’ 여행업계에도 몰아친 비대면 바람, 새로운 활로 찾는다

트렌드

재택근무의 명과 암 : 화상회의는 유용하다. 하지만 피곤하다.

트렌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준 한국 ‘줌’ 이용자 수 700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