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콘텐츠 67% 모바일에서 소비…종합일간지 콘텐츠 소비량 1위

국내 전체 콘텐츠 과반 이상이 모바일에서 소비되고 있었다.

데이블의 ‘2019 미디어 트렌드‘에 따르면, 콘텐츠 67%가 모바일에서 소비되었으며, 인당 하루 평균 콘텐츠 소비량도 모바일이 2.17건으로 PC 2.01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56%로 여성 44% 보다 높은 콘텐츠 소비량을 보였고, 25~44세 연령대가 주로 콘텐츠를 소비했다.

종합일간지는 인당 하루 평균 콘텐츠 소비량 및 전체 콘텐츠 소비량에 있어 1위를 차지했다. 모든 미디어 카테고리에서 주중에 비해 주말에 트래픽이 감소했다. 특히 경제지는 주중에 비해 주말에 트래픽이 60%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으며, 블로그와 연예지는 주말에도 주중 트래픽의 90% 수준을 유지했다.

매거진은 83.8초로 가장 높은 방문 당 체류시간을 기록했으며 스포츠는 44.9초로 가장 낮은 체류 시간을 나타냈다. 스포츠의 경우 남성 이용자가 70% 정도 차지했고, 연예지, 블로그, 매거진은 여성 사용자의 비중이 더 높았다. 블로그는 18~24세의 젊은 연령대가, 종합일간지, 방송/통신사는 55세 이상의 고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은 콘텐츠 소비량을 보였다.

2018년 대비 2019년에는 콘텐츠 이용자 수가 10.5% 하락하며 전체 콘텐츠 소비량이 1.7% 감소했다. 특히 PC의 경우 콘텐츠 이용자 수가 11.4% 떨어지며 콘텐츠 소비량이 4.8% 하락했다. 모바일은 2018년 대비 2019년 인당 하루 평균 콘텐츠 소비량이 10.7% 상승하며 콘텐츠 소비량은 0.1% 하락하는데 그쳤다.

경제지와 인터넷 신문은 2018년 대비 2019년 인당 하루 평균 콘텐츠 소비량이 20% 이상 증가하며 트래픽이 상승했다. 반면 블로그는 콘텐츠 이용자 수가 50% 이상 큰 폭으로 떨어지며 콘텐츠 소비량 또한 51.3%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동일한 765개 미디어(네이버 블로그 제외)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행태를 분석한 것이다.

플래텀 중국 연구소 소장 / 불편부당(不偏不黨)한 시선으로 중국 현황을 관찰하고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데이블, AI 기술 투자로 3분기 연속 흑자 기조

스타트업

글로벌 B2B 시장으로 뻗어가는 국내 IT 스타트업, ‘혁신 기술력’이 성공 열쇠

스타트업

데이블, 국내와 해외 시장 동시에 잡는다

스타트업

야놀자클라우드, 애드테크 기업 데이블 1,000억 원에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