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트렌드

‘차세대 기술 트렌드를 한 눈에’ 스마트콘텐츠 콘퍼런스 2013 성황리 개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가 주최하고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 홍상표)이 주관하는 ‘스마트콘텐츠 콘퍼런스 2013’이 오늘 삼성동 코엑스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스마트콘텐츠 콘퍼런스는 창조경제시대를 맞이하여, 웨어러블 테크, 3D 글래스, 3D 바이오 프린팅, 스마트카, 비트코인 등 미래기술의 패러다임을 살피고 국내 스마트콘텐츠 산업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며 많은 관심을 모았다.

사전등록 이틀만에 천여명의 신청자가 몰린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국내에서는 보기 어려웠던 미래 기술 제품들의 시연은 물론, 미래 기술을 활용한 글로벌 비지니스의 방향성과 국내 콘텐츠 및 기술력의 글로벌 확장에 관한 전문가들의 조언들이 이어졌다.

웨어러블 테크와 3D 글래스 세션에서는 탈믹 랩스(Thalmic Labs) 대표 스티븐 레이크(Stephen Lake)와 마치나(Machina) 대표 린다 프랑코(Linda L. Franco)가 각각 손 근육 인식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테크 제품인 ‘마이오(MYO)’와 패션과 기술, 음악을 결합한 웨어러블 테크 의류인 ‘미디 자켓(Midi Jacket)’의 시연으로 관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고, 스마트카와 콘텐츠 세션에서는 미국 전기차 사용자를 위한 소셜 어플리케이션 개발 기업인 파키토(PaKiTo)의 정직한 대표가 나서 세계의 스마트카 콘텐츠 산업의 현 수준을 논하며 미래 콘텐츠 개발의 돌파구를 제안했다.

또한 창조경제 세션에서는 비즈니스인텔리전스(BI)툴을 제공하는 스타트업 콤파스(Compass) 대표 비요른 라스 허먼(Bejoern Lasse Herrmann)이 창조 경제가 콘텐츠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영상 강연을 했으며, 3D 프린팅 세션에서는 혁신적인 바이오 조식배양기술(Biofabrication)을 통해 동물이나 환경에 위해를 가하지 않고 육류와 가죽을 생산해내고 있는 모던 메도우(Modern Meadow)의 사라 스클라식(Sarah Sclarsic)이 해당 산업의 가능성과 미래 가치에 관해 이야기하며 국내에서는 아직 활성화 되지 못한 바이오 프린팅 분야와 미래 환경 산업 분야에 관한 관심을 이끌어 냈다. 

그 외에도 빅데이터, 교육 서비스, 비트코인 등 다양한 분야의 미래 기술 산업 전문가/기업가들이 논하는 미래 기술의 현주소와 혁신 가능성을 통해 관객으로 참석한 천여명의 스타트업 관계자들과 각계의 전문가 및 학생들에게 미래 산업에 다양한 영감을 제공했다.

최근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을 끌며 연일 화제가 되고 있는 가상 디지털 화폐 비트코인(Bitcoin)의 한국 거래소 ‘코빗(Kobit)’의 유영석 대표는 “한국은 IT 분야는 물론 수 많은 미래 기술들을 빠르게 성장할 수 있는 좋은 토양을 지녔다”며, “이번 콘퍼런스를 계기로 창조경제시대를 이끌 미래 산업의 씨앗들이 더 많이 뿌리 내릴 수 있길 바란다”는 소감을 밝혔고

‘한국 콘텐츠의 미래’를 주제로 행사의 포문을 열었던 한국콘텐츠진흥원 홍상표 원장은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 및 기업들이 스마트콘텐츠의 미래에 관한 좋은 영감을 얻었으리라 생각한다”며, “미래를 지배할 기술 패러다임이 어떤 것이라 단정 지을 수 없는 만큼 본 행사를 통해, 보다 다양한 가능성들이 피어나길 바란다”고 전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콘진원, 전 세계 비즈니스센터 확대로 해외진출 성과 견인

트렌드

대한민국 가상자산 투자자들의 풍경

이벤트

콘진원, K-콘텐츠 스타트업 육성 나선다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중국 자동차 시장, 지능형 주행 경쟁 가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