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오픈에셋이 금융 VAN 사업자 더즌으로부터 5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오픈에셋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즌은 국내 금융 VAN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미국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변화와 국내 디지털 자산 정책 변화 시점에서 이뤄졌다. 양사는 더즌의 금융기관 연계 시스템과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 기술을 결합한 서비스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협업의 핵심은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서비스 ‘오픈민트’와 더즌의 금융 결제 인프라를 연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직접 발행과 기업용 화이트라벨 발행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더즌의 펌뱅킹 및 카카오 인증 시스템과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스템을 연동한 통합 서비스를 개발한다. 사용자는 은행 계좌와 스테이블코인 간 실시간 전환이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더즌의 외화 환전 키오스크 인프라에 오픈에셋의 스테이블코인을 적용하여 전국 관광지에서 국내외 이용자가 가상자산 기반 충전과 환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제송금 분야에서는 더즌의 크로스보더 정산망과 오픈에셋의 온체인 기술을 결합해 수수료를 절감한 서비스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오픈에셋은 카카오의 한국은행 CBDC 사업과 사내벤처 Won CIC 출신으로 구성된 회사다. 국내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등록했으며, 2개 은행과 ‘은행 이중서명 발행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안랩블록체인컴퍼니와의 오프라인 스테이블코인 결제 개념검증, 한국투자증권의 토큰증권 플랫폼 개발, 한국은행 CBDC 파일럿 등의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더즌은 국내 모든 은행과 연동된 VAN 시스템과 펌뱅킹·가상계좌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크로스보더 정산, 국내외 셀러 지급, 무인 키오스크 환전 서비스 등을 Web3 방식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김경업 오픈에셋 대표는 “더즌의 금융망을 바탕으로 스테이블코인이 실생활 금융과 연결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겠다”며 “Web3와 기존 금융의 경계를 허무는 모델을 현실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제정될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규제를 준수하는 프로세스를 갖추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에 나서겠으며,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 써클과 경쟁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오픈에셋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전통자산-디지털자산 간 융합 분야 인재 채용을 확대할 계획이다.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발행 대행 사업을 고도화하며 국내 스테이블코인 인가 발행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