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스타트업

쏘카, 2분기 카셰어링 매출 34% 증가… 2022년 IPO 목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이동 수요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는 지난 2분기 카셰어링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늘어났다고 20일 밝혔다. 같은 기간 쏘카 이용자들의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시간은 36% 상승했다.

출퇴근과 업무를 위해 1개월 이상 장기 이용 상품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1~36개월까지 이용자가 원하는 기간만큼 월단위로 계약하는 ‘쏘카플랜’의 이용자도 늘었다.

쏘카플랜은 19년 10월 출시 이후 지난해말까지 15개월동안 4,000건의 누적계약을 기록한 뒤 올 상반기에만 3,000건의 신규계약을 기록하며 본격 성장세에 올랐다. 쏘카플랜 이용자의 3분의 1은 계약을 연장하며 지속적으로 차량을 이용하고 있다. 플랜 서비스 지역도 수도권에서 올 들어 부산, 창원, 대구, 경북 등으로 확대했다.

쏘카는 코로나19로 인해 방역, 거리두기 등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한 이동수단인 카셰어링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하고 올 하반기에는 실적이 더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쏘카는 수요 증대에 힘입어 지난해 1만2,000대였던 운영차량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올 3분기에는 서비스 차량을 1만8,000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국내 모빌리티 기업으로는 최초의 유니콘기업에 오른 쏘카는 고객이 원하는 장소로 차랑을 탁송하는 ‘부름’ 서비스 확대, 신차 플랜 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상품 개발과 협력 확대에 주력, 성장세를 더욱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쏘카는 2022년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준비중이다.

한편 쏘카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이후 차량 안전에 집중하고 있다. 주 1회 차량 정기 세차시마다 살균소독을 진행하고 특히 신체 접촉이 많은 핸들과 기어 주변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차량내 크리넥스, 3M 등의 소독티슈를 비치, 이용자들이 보다 안심하고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신규로 도입하는 차량의 안전장치도 대폭 강화했다. 거치형 내비게이션보다 시야확보와 맵 업데이트가 용이한 정품 매립형 내비게이션을 신규 도입 전차량에 도입하고 있다. 또 차로이탈 방지, 차로유지 보조, 전방 추돌방지 보조,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 첨단운전자보조장치(ADAS)를 집중적으로 투자해, ADAS가 탑재된 쏘카 차량의 비중이 전체 운영차량의 70%를 넘어섰다.

박재욱 쏘카 대표는 “이동이 꼭 필요한 이용자들을 위해 차량 방역 강화, 차량안전에 대한 투자 확대는 물론 이용자 중심의 상품출시 등으로 카셰어링 사업이 크게 성장했다”며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성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쏘카, 2024년 4분기 매출 1,224억원, 영업익 30억원…2분기 연속 흑자

스타트업

쏘카 ‘패스포트’, 100만 가입자 돌파

스타트업

쏘카 이동 데이터로 본 대한민국의 새로운 일상

스타트업

모두의주차장, ‘노는’ 거주자우선주차면 9천여개‘공유 주차장’으로 탈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