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ckchain

NFT 플랫폼 ‘미르니’, 네이버 계열 VC ‘스프링캠프’로부터 시드 투자 유치

글로벌 대체 불가능 토큰(NFT) 플랫폼 ‘미르니’가 네이버 계열 VC ‘스프링캠프’로부터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 금액은 비공개이다.

글로벌 NFT 시장은 급성장중이다. 세계 1위 NFT 플랫폼 Opensea의 월 거래액은 1조원을 넘겼고, NBA Topshot으로 유명한 Dapperlabs는 기업가치 10조로 A16Z 등으로부터 투자유치를 했다. 최근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가 유럽축구 NFT플랫폼인 Sorare에 약 8천억원을 투자해 화제다. 국내에선 카카오, 위메이드, 업비트 등이 이 시장에 앞다투어 진입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메인네트워크 중심으로 운영되는 기존 국내 NFT 플랫폼들과 달리, 미르니는 해외 주요 NFT 플랫폼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시가 총액 2위 메인네트워크인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NFT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시장만을 타겟팅하는 기존 플랫폼과 달리, 미르니는 해외 컬렉터까지 타겟으로 한다. 미르니는 파트너 크리에이터들의 NFT 작품을 세계 1위 NFT 플랫폼 오픈씨와 미르니에서 동시에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국내 콜렉터는 보다 친숙한 UX로 해외 및 국내 NFT작품을 접할 수 있고, 크리에이터들은 전세계에 본인의 콘텐츠를 알릴 수 있다.

미르니는 첫 번째 파트너 크리에이터인 일러스트레이터 이공의 ‘체리파이’ NFT를 10월 14일 NFT 래플 이벤트로 2762대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달성했으며 다음 날 NFT 드롭 판매를 통해 10여분 만에 완판하기도 했다.

미르니는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게임, 메타버스 등 NFT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며, 강력한 핵심 콘텐츠 파트너십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미르니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인 양영석 대표가 창업한 NFT 플랫폼이다. 양 대표는 지난해 11월 11일 이더리움 생태계를 마비시킨 컨센서스 버그를 발견해 화제를 모은 인물이다. 해당 버그는 바이낸스, 업비트 등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들뿐만 아니라 메타마스크, 유니스왑 등 주요 디앱(DApp) 서비스들도 마비시켰다. 양 대표는 세계최대 오픈소스단체인 Apache committer이자, 국제 최상위 시스템 학회인 OSDI21, ATC19, EuroSys17에 제1저자로 3편의 논문을 게재했으며, 구글 본사 및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에서 연구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르니 양영석 대표는 “세계 무대에서 국가대표 NFT 플랫폼으로 자리잡아 K-콘텐츠 해외 수출에 이바지하겠다” 라고 포부를 밝혔다.

투자사인 스프링캠프의 최낙성 심사역은 “미르니는 NFT기술을 장기적으로 보고 접근하는 진정성과 열정 넘치는 팀으로, 경쟁력 있는 국내 콘텐츠들을 전세계로 수출하며 글로벌 주요 NFT포털로 성장할 것이라 기대한다”라고 투자 이유를 밝혔다.

스타트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Minjung Kim is a Manager of Platum.
She will try to share pract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tartup.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투자

친환경 기술 기업 ‘그린다’, 프리A 투자 유치

투자

케어벨 운영사 제로웹, 일본 벤처캐피탈에서 전략적 투자 유치

투자

에이스인벤터, 씨엔티테크로부터 투자유치

투자

마들렌메모리, 21억 원 프리A2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