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기업 10곳 중 7곳 “디지털 전환 필요…비즈니스 경쟁력 높이기 위해”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T)이 전 산업군의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우리 기업들은 디지털전환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인력과 예산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교육 기업 데이원컴퍼니의 사내독립기업 패스트캠퍼스 기업교육본부가 공개한 리포트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업의 10곳 중 7곳(72.3%)이 디지털전환 추진이 ‘필요하다’고 답해 디지털전환이 전 산업계에서 핵심 화두로 자리잡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지털전환이 필요한 이유(복수응답)로는 ‘경쟁에서 뒤처지기 때문(65.3%)’, ‘비즈니스 기반이 디지털로 바뀌기 때문(60.3%)’, ‘글로벌 트렌드(4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DT를 적극 추진하는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는 온도차가 느껴졌다. DT 적극 추진 집단(N=154)에서는 ‘조직문화 혁신(58.4%, 복수응답)’, ‘제조공정 빅데이터ㆍAI 기반 스마트화(52.6%)’, ‘고객분석을 위한 서비스 개선(48.7%)’, ‘새로운 사업기회 창출(45.5%)’ 등 향후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DT를 추진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집단(N=88)에서는 ‘예산부족(43.2, 복수응답)’, ‘전문인력 부족(38.6%)’, ‘경영진 의지 부족(34.1%)’ 등 현실적인 이유를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또한 응답기업 중 임직원 대상의 디지털전환 교육을 경험한 비율은 53.3%였으며, 61.2%가 향후 디지털 교육을 추진하거나 지속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교육 담당 전문 인력 부족(36.8%, 복수응답)’, ‘실무에 도움이 되는 교육 과정 부족(34.2%)’ 등이 향후 교육을 지속할 수 없는 주된 장애 요인으로 나타났다.

리포트는 디지털전환 교육을 실시하더라도 교육 분야가 넓고 변화가 많기 때문에 교육생 개개인을 만족시키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업종 및 직무에 따라 교육 추진 이유와 인식, 필요한 교육의 난이도가 상이했기 때문이다. 특히 실무 연계와 디지털 전환 추진 목적과 연관성이 떨어지는 교육은 그렇지 않은 교육에 비해 만족도가 떨어졌다. 따라서 각기 다른 개인별 디지털 역량 수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직무·직급별 단체 교육이 아닌 조직원들에게 맞춤형 학습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데이원컴퍼니, 지난해 매출 1277억… 11년 연속 성장하며 ‘역대 최대’ 경신

이벤트

데이원컴퍼니, 英 AI 기업과 글로벌 해커톤 개최

스타트업

데이원컴퍼니, 공모가 13,000원 확정…코스닥 상장 임박

스타트업

데이원컴퍼니 “AI는 선언 아닌 성과”…이달 코스닥 입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