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기업 임원들이 보는 2023년 경기 전망은?

새해가 밝았지만 경기 전망은 어둡다. 세계은행에서는 현지 시간으로 지난 10일, 작년 6월에 발표했던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에서 1.7% 수준으로 거의 반토막 하향 조정했다. 정부에서도 수출 감소, 더딘 내수 회복 등을 요인으로 국내 경기둔화 우려가 더 커졌다며 경고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기업 경영 일선에서 이를 체감하고 있는 고위 임원들도 경기 위축 예상과 함께 대비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내 눈길을 끌고 있다.

종합 비즈니스 플랫폼 리멤버에서 최근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재직자 중 임원급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3년 경기 전망에 대해 국내 기업 임원 중 72%가 전년 대비 올해가 더 위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가 더 나을 것’이라 답한 사람은 15%, ‘전년과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 사람은 13%에 불과했다.

경기 위축 예상 원인으로는 ‘금리 급등으로 인한 수요 감소(28%)’가 1순위로 꼽혔다. 이어서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타격(20%)’,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높은 원가 부담(17%)’ 순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지속으로 인한 자금 조달 난항을 예상’하는 응답자도 10%에 달했다. ‘수요 감소에 따른 재고 증가’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인한 에너지 공급 충격’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각각 6%로 나타났다.

기업 임원들이 예상하는 경기 회복 시기는 언제일까. 응답별 편차는 있지만, 76%가 경기 회복 예상 시점을 ‘24년 이후’로 전망했다. 올해 안에 반등할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들은 24%에 불과했다.

구체적으로는 ‘24년 하반기’(32%)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뒤를 이어 ‘24년 상반기’(26%) 순으로 나타났다. 회복 시기를 낙관적으로 전망해 ‘23년 하반기’(23%)라고 응답한 사람도 있는 반면, ‘25년 이후’로 답한 응답자도 19%에 달했다.

경기 불황 해소를 위해 새해 이들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은 무엇일까. 비용 절감, 운영 효율화 등 ‘내부 자구책 마련'(27%)이 1순위로 당장 기업에 닥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기준 금리 인하'(22%), ‘정부 재정 지원 확장’(15%), ‘기업 규제 축소'(14%), ‘수출 판로 확대'(8%) 순으로 집계돼 정부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눈에 띄었다.

구체적인 기업별 자구책과 관련해 한 중견기업 A사 임원은 “경기 침체기 속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비용 절감과 전문인력 확보가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비용 절감을 통해 생존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고금리・고물가 상황을 오래 버틸 수 없다는 인식과 함께, 비용 절감 기조에도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핵심 인력에 대한 수요는 줄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리멤버, 경력직 채용 시장 선도… 스카웃 제안 800만건 돌파

스타트업

리멤버, 기업의 세일즈·마케팅 효율 높이는 ‘마켓 솔루션’ 론칭

스타트업 이벤트

최재호 리멤버 대표 “폭발적 성장 변곡점에 섰다… 게임 체인저 될 시기”

이벤트 트렌드

“기업 생산성 향상의 열쇠, HR 전략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