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직장인 이직 기준 1위 ‘커리어 성장 가능성’…연봉 제치고 43.8%

직장인 이직 기준이 연봉에서 성장 가능성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멤버앤컴퍼니가 직장인 1만61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력 이직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3.8%가 이직할 회사를 선택할 때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이는 ‘연봉 인상률(20.7%)’을 크게 앞선 수치로, 연봉이 이직의 최우선 요소라는 기존 인식과 차이를 보였다.

모든 직급에서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이직의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답했으며, 사원·대리급보다 고연차로 갈수록 이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리멤버 리서치는 이에 대해 평균 수명 연장과 ‘지속 가능한 커리어’ 구축을 고민하는 시니어 직장인들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경기 침체와 AI로 인한 일자리 위협 등 고용 불안도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직장인들이 당장의 연봉 인상보다는 대체 불가능한 핵심역량 확보를 통한 장기적 생존을 위한 커리어 성장을 추구하는 ‘생존 이직’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연봉과 복리후생 등 경제적 보상도 여전히 중요한 이직 요소로 조사됐다. ‘연봉 인상률(20.7%)’ 다음으로 ‘연봉 외 복리후생(20.5%)’, ‘회사 재정 상태(14.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들이 단순한 급여 수준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안정성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응답자들은 ‘같이 일하는 동료들’, ‘경영진의 경영 방침’, ‘사내 분위기 및 평판’ 등 정성적 요소도 회사 선택 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고 답했다. 이는 이직 결정에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이직 결정 단계에서는 연봉의 영향력이 여전히 컸다. ‘이직을 결정할 때 연봉이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약 80%의 응답자가 연봉이 이직 판단에 절반 이상의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반면 ‘30%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4.9%에 그쳤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2025년 상반기 신입 공채 지원자 평균 학점 3.68점·토익 848점

스타트업

리멤버 경영권, 아크앤파트너스에서 EQT로 이전…기업가치 5000억원

트렌드

국내 기업 임원 32.5%, “AI 효율적이면 인력 채용 대체”

스타트업

웹3 보안 인재 매칭…두나무, ‘업사이드 링크’ 플랫폼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