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직장인 이직 기준 1위 ‘커리어 성장 가능성’…연봉 제치고 43.8%

직장인 이직 기준이 연봉에서 성장 가능성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멤버앤컴퍼니가 직장인 1만61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경력 이직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3.8%가 이직할 회사를 선택할 때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이는 ‘연봉 인상률(20.7%)’을 크게 앞선 수치로, 연봉이 이직의 최우선 요소라는 기존 인식과 차이를 보였다.

모든 직급에서 ‘커리어 성장 가능성’을 이직의 최우선 고려사항으로 답했으며, 사원·대리급보다 고연차로 갈수록 이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리멤버 리서치는 이에 대해 평균 수명 연장과 ‘지속 가능한 커리어’ 구축을 고민하는 시니어 직장인들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경기 침체와 AI로 인한 일자리 위협 등 고용 불안도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직장인들이 당장의 연봉 인상보다는 대체 불가능한 핵심역량 확보를 통한 장기적 생존을 위한 커리어 성장을 추구하는 ‘생존 이직’ 트렌드가 나타나고 있다.

연봉과 복리후생 등 경제적 보상도 여전히 중요한 이직 요소로 조사됐다. ‘연봉 인상률(20.7%)’ 다음으로 ‘연봉 외 복리후생(20.5%)’, ‘회사 재정 상태(14.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장인들이 단순한 급여 수준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안정성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일부 응답자들은 ‘같이 일하는 동료들’, ‘경영진의 경영 방침’, ‘사내 분위기 및 평판’ 등 정성적 요소도 회사 선택 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고 답했다. 이는 이직 결정에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시켜준다.

이직 결정 단계에서는 연봉의 영향력이 여전히 컸다. ‘이직을 결정할 때 연봉이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 약 80%의 응답자가 연봉이 이직 판단에 절반 이상의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반면 ‘30% 미만’이라고 답한 비율은 4.9%에 그쳤다.

플래텀 에디터 / 스타트업 소식을 가감 없이 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리멤버, 비즈니스 연결 플랫폼 ‘리멤버 커넥트’ 베타 론칭

스타트업

2025년 상반기 신입 공채 지원자 평균 학점 3.68점·토익 848점

스타트업

리멤버 경영권, 아크앤파트너스에서 EQT로 이전…기업가치 5000억원

트렌드

국내 기업 임원 32.5%, “AI 효율적이면 인력 채용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