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7% “AI가 개발자 수요 줄이고 있어”
국내 기업 임원 3명 중 1명은 AI가 사람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인력 채용을 대체하겠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HR 통합 플랫폼 딜이 명함 앱 ‘리멤버’에 의뢰해 지난 6월 11일부터 27일까지 국내 기업 임원급 인사 24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2.5%가 AI가 더 높은 효율성을 입증할 경우 인력 채용을 AI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절반 이상(56.7%)은 추이를 지켜본 후 결정을 내리겠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75%는 AI 대체 시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직군으로 신입 지원자를 꼽았다. 이어 중간 관리직(22%)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의 47%가 AI 도입이 채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 중 8%는 매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답했다.
AI 도입으로 가장 영향을 받는 직무로는 개발·엔지니어링(35%)이 1위를 차지했고, 고객 지원(21%), 회계·법무 등 백오피스(18%)가 뒤를 이었다. 67%의 응답자는 “AI가 코딩 작업을 지원함으로써 개발자 수요를 줄이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지난 1년간 AI로 인한 인력 감축이나 직무 변화가 없었다는 응답이 74%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6%만이 실제 인력 감축을 경험했다고 답했고, 20%는 AI 도입으로 인해 재교육이나 직무 전환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98%의 국내 임원들은 ‘AI를 활용하더라도 인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판단력(31%)과 창의성(28%)이 AI가 사람을 대체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꼽혔다.
HR 및 조직 관리(29%), B2B 영업(26%), 컴플라이언스 및 대외협력(19%), 마케팅(18%) 등은 AI가 도입되더라도 인간 중심의 통찰력과 네트워크가 필수적인 영역으로 평가됐다.
전체 응답자의 31%는 2025년 인력의 ‘AI 역량 강화’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