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강원혁신센터)가 지역 창업을 바라보는 창업자들의 의견을 듣고창업 지원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오픈서베이와 함께 ‘강원 창업 생태계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28일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 11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간 이루어졌으며, 강원에서 사업 중인 사업자 201명, 강원에 이전한 사업자 205명, 강원 이외 지역에서 사업 중인 사업자 200명, 전국의 예비창업자 200명 등 4개 그룹으로 나눠, 총 806명의 응답을 수집했다.
내용은 지원 사업, 정책, 인프라가 각 그룹에 미치는 영향력 파악과 각 조사 그룹별 특성으로 구성됐다.
지원 사업, 정책, 인프라가 각 그룹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조사는 정책적/장기적 영역의 지원 사업에 대한 선호도, 사업 실행적/단기적 영역의 지원 사업 선호도, 사업 관련 인프라 선호도로 구분해 진행됐다.
그룹별 차이는 있었지만, 정책적/장기적 영역의 지원 사업에 대한 선호는 각종 규제 완화·특례 추진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기업에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하는 지역 금융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공통으로 많았다.
실행적/단기적 영역의 지원 사업 선호는 지역 중소기업과 창업기업의 협력 제품 생산 지원, 지원 사업 선정자가 줄더라도 선정자에 대한 지급 금액 상향 조정, 대기업 협업 중개 확대 등의 목소리가 높았다.
필요한 인프라의 경우, 사업 환경이 좋은 곳에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입주할 수 있는 사무실, 졸업제로 운영되는 시험 점포, 지역 전체적인 생활문화 인프라 향상 등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룹별 특성을 살펴보면, 강원에서 사업 중인 사업자 그룹은 강원에서 사업하는 이유를 어렸을 때부터 계속 있었던 지역(30.8%), 자연과 어우러진 지역 자체의 매력(22.4%), 일과 쉼의 균형을 찾으며 사업(21.4%) 순으로 응답했다. 평균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7.4점이었고, 만족도에 영향을 준 요인은 사업하기 좋은 환경(90.0%), 어렸을 때부터 살아온 지역/가족 거주(85.5%)라는 응답이 이어졌다. 반면, 단점으로는 고객 확보의 어려움(54.8%), 인력 채용의 어려움(48.4%) 등이라고 응답했다.
강원에 이전한 사업자는 지역에서 사업하는 이유를 일과 쉼의 균형(26.3%), 가족들이 생활하기 좋은 환경(23.4%), 자연과 어우러진 지역의 매력(22.4%) 순으로 응답했다. 이전한 사업자의 75.1%는 강원 외 지역에서 근로하다가 강원에서 창업했다고 응답했으며, 전체 응답자의 41%가 강원에 연고가 전혀 없었다. 평균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7.78점이었고, 만족도에 영향을 준 요인은 자연과 어우러진 지역의 매력(82.6%), 사업하기 좋은 환경(81.0%)이라는 응답이 이어졌다. 단점으로는 인력 채용의 어려움(54.5%), 수도권 대비 지원 사업 부족(54.5%), 사업 운영 과정에서 생기는 장거리 이동(54.5%) 등을 꼽았다.
강원 이외 지역에서 현재 사업 중인 사업자는 13%만이 사업을 시작한 이후 강원 지역으로 사업체 이전을 고려했다고 응답했다. 이전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는 연고가 없고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71.8%), 고객이 적어서(41.4%), 가족들의 생활과 교육(35.6%) 순이었고, 이전을 고려한 이유는 자연과 지역의 매력(53.8%), 일과 쉼의 균형(46.2%), 토지·임대료·물가·사업 원가가 저렴해서(34.6%) 순이었다.
아직 사업을 시작하지 않은 전국의 예비창업자 대상 조사에서 강원의 인기는 높았다. 예비창업자의 41%가 강원에서의 창업을 생각해 본 경험이 있고, 실제 창업을 고려하는 지역도 서울, 경기, 부산 다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지역으로 강원을 고려하는 이유는 자연과 지역의 매력(43.9%), 토지·임대료·물가·사업 원가가 저렴해서(35.4%), 상대적으로 경쟁이 적을 것 같아서(26.8%) 순이었고, 고려하지 않는 이유는 연고가 없고 도와줄 사람이 없어서(56.8%), 교통이 좋지 않아서(48.3%), 고객 수요가 많지 않을 것 같아서(39.0%) 순이었다.
강원혁신센터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강원 창업 생태계를 바라보는 지역 안과 밖의 시선, 그리고 다양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도출된 인사이트를 지역 창업 정책 관계자들과 나누며 향후 전략과 계획 수립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