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AI 활용 미비한 국내 HR 담당자들, 전문성 검증 어려움 지적

국내 인사(HR) 담당자들의 인공지능(AI) 활용도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AI에 대한 지식 부족과 전문성 검증의 어려움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글로벌 HR 플랫폼 기업 딜(Deel)이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내 HR 담당자의 61.5%가 급여, 인사관리, 복리후생, 채용, 컴플라이언스 등 HR 업무에 AI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명함관리 앱 리멤버를 통해 HR 담당자 27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AI 도입을 주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AI에 대한 지식 및 자신감 부족’이 꼽혔다. 응답자의 42% 이상이 이를 주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또한 70% 이상의 응답자가 “가까운 시일 내 AI 전문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AI 전문 인력 채용을 꺼리는 이유로는 ‘AI 전문성 검증 역량 부재'(40.0%)가 가장 많았다. 이는 ‘과도한 연봉에 대한 우려'(30.0%)나 ‘기준에 부합하는 국내 인력 부족'(27.5%)보다 높은 수치다.

그러나 HR 분야에서 AI 활용에 대한 기대감도 존재한다. 전체 응답자의 65.4%가 채용과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AI 도입을 통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현재 HR 분야에서 AI는 주로 채용 공고 작성(34.4%), 면접 진행(29.5%), 지원자 이력서 심사(29.5%) 등에 활용되고 있다. 반면 AI를 통해 지원자의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는 응답은 1.6%에 그쳤다.

딜의 제품책임자(CPO) 애런 골드스미드는 “AI에 대한 회의감이나 저항감은 이해할 만하지만, AI를 활용한 문제 해결 경험을 통해 이러한 감정은 쉽게 해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AI 도입의 지름길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기자 /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전달하며, 다양한 세계와 소통하는 것을 추구합니다. / I want to get to know and connect with the diverse world of start-ups, as well as discover their stories and tell them.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글로벌

South Korean Opposition Leader Pledges $75 Billion for AI Development

스타트업 이벤트

‘바벨의 해독자’ 업스테이지, AI로 문서 언어 통일한다

스타트업

도구공간, AI 순찰로봇 관제 시스템 ‘SOS’ V3 배포

스타트업

셀렉트스타, 캐릭터 AI 솔루션 적용한 ‘헬로카봇’ AI 영상편지 서비스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