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라이다 기술로 도심 교통 분석

서울시 은평구에서 진행된 라이다(LiDAR) 기반 교통 및 보행자 분석 실증 프로젝트가 완료되면서, 도심 공공안전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 인프라 및 자율주행 라이다 인지 솔루션 전문기업 뷰런테크놀로지(이하 ‘뷰런’)가 27일 이 같은 실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증사업은 도심 내 교통량과 보행자 통행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정량화하는 기술의 정확도 검증에 중점을 뒀다. 은평구 와산교 일대에서 진행된 이 프로젝트는 교량 위 차량 교통량과 교량 아래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량을 각각 분석하는 방식으로 수행됐다.

교량 위에서는 라이다 센서를 통해 차량, 상용차, 이륜차 등 유형별 감지와 수량 측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도심 교통 데이터 기반 행정 정책 수립이나 흐름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데이터 확보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교량 아래에서는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이동을 감지해 실시간 통행량을 분석했다. 라이다 센서는 날씨나 조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환경 강인성을 갖추고 있어 야간 등 저조도 환경에서도 정확한 감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기술은 개인을 식별하지 않는 익명 기반의 데이터 수집이 가능해 사생활 침해 우려 없이 스마트 인프라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실증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보행자 안전 확보 및 보행 환경 정비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은평구청 임동현 주무관은 “라이다 기술이 도심 내 교통량과 보행 흐름을 실시간으로 정량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한 의미 있는 사례였다”며, “앞으로 교통 및 보행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과정에서 과학적 데이터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뷰런 김재광 대표는 “이번 실증을 통해 도심 내 다양한 객체를 안정적으로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수량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입증했다”며, “향후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와 협력해 공공안전, 교통 운영 효율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라이다 기술의 활용 범위를 넓혀가겠다”고 전했다.

2019년에 설립된 뷰런은 라이다 기반의 자율주행 및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이다. 자율주행 솔루션 ‘뷰원(VueOne)’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로봇, UAM(도심항공교통) 등 다양한 무인이동체에 적용되고 있으며, 스마트 인프라 솔루션 ‘뷰투(VueTwo)’는 ITS(지능형교통시스템), 산업안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데이터 기반 기술 개발과 서비스 고도화에 주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뷰런테크놀로지, ‘CES 2025’에서 라이다 솔루션 뷰엑스 공개

투자

뷰런테크놀로지, 시리즈 A 라운드에서 220억 원 투자 유치

스타트업

[이달의 TIPS] 프레쉬아워, 큐클릭, 크로스포인트테라퓨틱스, 펀치랩, 아론, 소유에프앤비, 파인더스, 베러웍스, 아모트래블, 포비콘, 뷰런테크놀로지, 비플러스헬스케어, 위플로, 로비고스, 프로바랩스

스타트업

[스타트업 단신] 숏뜨, 피처링, 고피자, 올거나이즈, 뷰런테크놀로지, 데이터라이즈, 패스트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