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뮤직 플랫폼 하이오(HAiO)가 인공지능으로 생성한 음악이 20만 곡을 넘어섰다. 음악 채널도 1만 개를 돌파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이오는 전문적인 음악 지식 없이도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제작하고 개인 음악 채널을 운영하며 보상까지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다. 뮤직 AI 에이전트, 플레이리스트 AI 에이전트, 라이브 AI 에이전트 등 다양한 AI 에이전트를 보유한 뮤직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이오는 AI를 통해 오리지널 음악을 대규모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현재 하루 평균 1,000곡을 생성하며, 지금까지 총 20만 곡 이상의 AI 음악을 만들어냈다.
올해 3월 출시한 사용자 참여형 AI 음악 평가 서비스 ‘튠(Tune) AI’는 누적 200만 건 이상의 참여를 기록했다. 플레이리스트는 4만 건, 음악 채널은 1개월 만에 1만 개를 넘어서는 성과를 보였다.
사용자들은 개인정보 등록 없이 월렛 주소만 연결해도 자신만의 음악 채널을 운영할 수 있다. 현재 하이오에 연결된 월렛 수는 40만 개를 초과했다. 이는 하이오가 단순한 음악 생성 도구를 넘어 공동 창작과 공동 소유가 가능한 웹3 음악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이오는 세이프팔(SafePal), 오지랩스(OG Labs), 비트겟월렛(Bitget Wallet), 솔레이어(SOLAYER) 솔라나 슈퍼팀 등 웹3 업계 프로젝트 10여 곳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이오는 향후 ‘에이전트파이(AgentFi)’를 출시할 계획이다. 사용자가 AI 에이전트를 NFT 형태로 소유하거나 스테이킹하여 해당 에이전트가 생성한 음악 콘텐츠의 수익을 공유받는 AI 기반 수익 공유 모델이다.
에이전트가 생성한 트랙이 사용자 채널에서 재생되거나 플레이리스트에 포함될 경우, AI 소유자는 수익 일부를 자동으로 배분받게 된다. 창작자, 큐레이터, 팬이 모두 주체로 참여하는 새로운 음악 경제 생태계 구현이 목표다.
하이오의 AI 에이전트가 제작한 음악은 스트리밍을 넘어 광고, 게임, 메타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다. 2025년 4분기부터 B2B API 및 SDK 라이선싱을 제공하여 외부 플랫폼들이 하이오의 생성형 에이전트를 통합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조엘 로버츠 하이오 대표는 “누구나 음악을 만들고, 소유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하이오는 단순한 생성형 AI를 넘어 실시간 자동 태깅, 사용자 피드백 기반 AI 개선, 웹3 기반 콘텐츠 소유권 구조를 모두 갖춘 음악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