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엘리시아,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프라 공개

zkTLS 기반 WebProof 기술 적용…기존 은행 시스템과 호환

국내 RWA(실물자산토큰화) 전문 기업 엘리시아(ELYSIA)가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자동 발행할 수 있는 통합 인프라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인프라는 원화 송금부터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까지 전 과정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금융사나 핀테크 기업, Web3 프로젝트 등이 자체적인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스템을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엘리시아가 이번 인프라에 적용한 핵심 기술은 zkTLS(Zero-Knowledge Transport Layer Security) 기반의 WebProof 기술이다. 이는 사용자의 금융 정보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도 거래 사실을 검증할 수 있는 영지식증명 기술로, 검증이 완료되면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자동으로 발행되는 구조다. 현재 Aztec, Arbitrum, Stellar, Worldcoin 등 주요 블록체인 기업들이 주목하고 있는 기술이다.

엘리시아는 이 기술에 대한 역량을 인정받아 해당 기업들이 공동 후원하는 ‘Noir Research Grant #4’에 선정되기도 했다.

엘리시아 측은 “사용자의 계좌번호, 거래내역 등 민감한 금융 정보는 zk 기술로 안전하게 보호되며,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에 증명 가능한 방식으로 투명하게 기록된다”며 “신뢰성과 보안성을 모두 갖춘 이 구조가 한국과 같은 규제 환경에 적합하며, 금융 환경에서 작동 가능한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핵심 인프라 기술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인프라의 특징은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호환성이다. 기관들은 현재 사용중인 은행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해 원화 수신 확인, 거래 내역 검증, 원화 스테이블코인 자동 발행의 전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엘리시아 관계자는 “복잡한 블록체인 기술을 별도로 학습하지 않아도 기존 핀테크 서비스 개발하듯 쉽게 도입할 수 있는 턴키 솔루션”이라며 “국내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진출하고자 하는 모든 기관에게 즉시 활용 가능한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엘리시아는 국내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제화에 앞서 관련 인프라를 미리 구축해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특히 부동산 토큰화 사업에서 축적한 규제 대응 노하우를 바탕으로 컴플라이언스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엘리시아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국내에 정착하면 RWA(실물자산 토큰화) 시장도 성장할 것”이라며 “3년 전부터 이런 환경 변화를 예상하고 준비해왔으며, 이제 그 결실을 보여줄 때가 왔다”고 밝혔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Uncategorized

6월 국내외 증시 모두 상승세…기술주 변동성과 정책 수혜주 주목

이벤트 스타트업

네이버페이, AI·웹3 기반 글로벌 핀테크 플랫폼 도약 선언

트렌드

디지털 혁신과 AI가 금융의 미래를 바꾼다

글로벌

[중국 비즈니스 트렌드&동향] 앤트그룹, 홍콩서 스테이블코인 시장 ‘쌍두마차’ 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