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인핸스, 국제 AI 학회 2곳서 연구논문 발표

AAAI·SIGKDD서 문화적 편향 해결·정보검색 성능 향상 솔루션 제시

커머스 AI 에이전트 스타트업 인핸스가 인공지능 분야 최우수 국제 학술대회 2곳에서 연구논문 2편을 발표했다.

인핸스는 AI 분야 권위 학회 중 하나인 ‘8th AAAI/ACM Conference on AI, Ethics, and Society(AAAI-AIES 2025)’에 베이징대학교, 칭화대학교와 공동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다.

발표된 논문 ‘검색 증강 맥락 학습을 통한 문화적 정렬 향상(ValuesRAG: Enhancing Cultural Alignment Through Retrieval-Augmented Contextual Learning)’은 LLM의 문화적 편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담고 있다.

해당 프레임워크는 개인의 문화적 가치와 인구 통계 정보를 요약하고 검색 증강 생성(RAG)과 문맥 기반 생성을 결합했다. 이를 통해 생성된 응답에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반영할 수 있다.

인핸스는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 마이닝 학술대회 ‘SIGKDD 2025-AI Agent for Information Retrieval (Agent4IR) workshop’에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AI 에이전트의 대화형 구조를 활용한 새로운 검색어 확장 기법(A New Query Expansion Approach for Enhancing Information Retrieval via Agent-Mediated Dialogic Inquiry)’이라는 제목의 논문은 정보 검색 성능 향상을 위한 멀티 에이전트 기반 프레임워크 ‘AMD(Agent-Mediated Dialogic Inquiry)’를 제시했다.

AMD 프레임워크는 소크라틱 질의 에이전트, 대화형 응답 에이전트, 반영적 피드백 에이전트의 3단계 대화형 구조를 통해 초기 검색어에 대한 답변을 더욱 정밀하고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각 에이전트가 LLM을 활용해 질문 생성, 응답, 검토를 수행하며 기존 기법 대비 검색 정확도와 다양성을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인핸스 서원덕 AI 연구원이 1저자로 주도했으며, 이 성과를 기반으로 인핸스의 핵심 서비스인 CommerceOS와 AIAP(AI Agent Platform)의 기술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승현 대표는 “이번 논문 발표를 통해 인핸스의 AI 에이전트 기술력이 커머스를 넘어 정보 검색, 문화적 편향 해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가능함을 학술적으로 입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MIT, 예일대를 비롯한 해외 대학 연구진들과 함께 연구를 지속하는 만큼 차세대 AI 에이전트 기술을 선도하고, 글로벌 AI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을 보여주겠다”고 덧붙였다.

2021년 설립된 인핸스는 커머스 자동화를 위한 LAM(Large Action Model) 기반 AI 에이전트 솔루션 기업이다. 기존 LLM이 언어 생성에 머물렀다면, LAM은 실제 업무를 직접 수행하며 매출과 영업 이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을 스스로 판단하고 수행한다. 지난 5월 팔란티어의 ‘스타트업 펠로우십’에 선정된 바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변화하는 스타트업 비즈니스의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댓글

Leave a Comment


관련 기사

스타트업

페이지워크, 생성형 AI 검색 대응 웹문서 자동 생성 솔루션 출시

스타트업

센드버드, 엔터프라이즈급 AI 운영 시스템 ‘Trust OS’ 론칭

트렌드

국내 기업 임원 32.5%, “AI 효율적이면 인력 채용 대체”

글로벌

알리바바, 세계 최초 MoE 기반 영상 생성 모델 ‘Wan2.2’ 오픈소스 공개